한밭야구장 중앙펜스 121m, 좌우펜스 99m로 넓힌다!

  • 스포츠
  • 한화이글스

한밭야구장 중앙펜스 121m, 좌우펜스 99m로 넓힌다!

대전시 “안전 이상 없고 혈세 안 들면 반대 이유 없어”

  • 승인 2012-11-13 16:15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프로야구 한화이글스 홈구장인 대전 한밭구장이 중앙 펜스 121m, 좌우 펜스 99m로 넓어질 전망이다.
 
이처럼 넓어지면 국내 프로야구 홈구장 가운데 중앙 펜스 거리 기준으로 2번째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화이글스에 따르면 신임 김응용 감독 요청에 따라 이처럼 홈구장 펜스 거리를 늘리기로 했다.
 
현재 한밭구장 중앙펜스 거리는 114m, 좌우 펜스는 97m다.
 
한화는 현재 펜스 거리를 늘리는 것을 이번 주 내로 야구장 소유권자인 대전시에 승인 신청 공문을 발송할 계획이다.
 
대전시가 이를 승인하면 곧바로 공사에 착수, 내년 시즌 개막 이전까지 공사를 완료할 것으로 보인다.
 
펜스 거리를 늘리는 것은 새 사령탑을 맡은 김응용 감독의 간곡한 요청 때문이다.
 
김 감독은 한화 감독 취임 직후 “짧은 펜스거리에서는 투수들이 마음 놓고 공을 던질 수 없다”며 “선수들의 플레이도 위축될 수 밖에 없다”고 펜스 거리가 늘어나야 한다는 지론을 펼친 바 있다.
 
올 시즌 한밭구장에서 나온 홈런은 87개로 경기당 평균 0.78개에 달한다.
 
이는 문학구장(평균 0.8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그만큼 한화 투수들은 ‘안방’에서 홈런을 의식할 수밖에 없었다.
 
한화 계획대로 펜스 거리가 늘어나면 국내 프로야구단 홈구장 가운데 2번째로 넓은 구장이 된다.
 
LG와 두산이 홈으로 쓰는 잠실구장 중앙 펜스거리 125m보다는 짧지만, SK의 인천 문학구장, 삼성 대구 시민구장, 기아 광주 무등구장(이상 120m) 보다는 넓어진다.
 
한화 노재덕 단장은 “펜스거리가 길어지면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은 물론 대전 시민들의 관람권도 한 층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한화는 대전시의 예산 지원 없이 자체 예산으로도 공사를 실시한다는 내부 방침을 세웠다.
 
한밭구장 소유권자인 대전시도 일부 단서를 달기는 했지만, 한화의 펜스거리 넓히기에 긍정적이다.
 
안전문제와 혈세 부담이 없으면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아직 한화 측에 이와 펜스거리를 늘리는 것과 관련해 공문을 접수받은 적 없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문제인데 최근 답사를 해 본 결과 일정 부분만 지키면 그다지 문제 될 것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어 “대전시민들의 야구 관람권이 좋아진다면 굳이 우리가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다만, 올해 100억여 원을 들여 야구장 리모델링을 완료한 만큼 시 예산이 투입되는 것은 곤란하다”고 선을 그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정자원 화재로 행정업무 647개 차질…재난위기 '심각' 격상
  2.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초진 후 연기는 계속…데이터 유지 위해 소방수 자제
  3.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 정부 온라인 서비스 먹통
  4. 전산실 배터리 지하실로 옮기는 중 불꽃…647개 업무 '셧다운'
  5. [부고] 최화진 중도일보 기자 조부상
  1. 리튬배터리 폭발·서버 보호에 물 사용 제한…화재진압 장시간 소요
  2. 나사렛대, 런치특강 '취업JOB GO!' 성황리 종료
  3. 순천향대천안병원, 호스피스의 날 기념 캠페인 개최
  4. 백석문화대 RISE사업단, 신경림 대한간호협회장 초청 특강 개최
  5. 천안법원, 법정서 위증한 60대 공인중개사 2명 '벌금 500만원'

헤드라인 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화재에 국민 불편 초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에 국민 불편 초래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화재로 정부 전산시스템 중 국민 직접 이용 인터넷망 서비스도 상당 부분 멈추면서 주말 사이 국민 상당수가 불편을 겪었다. 시스템 완전 복구까지는 상당 기간이 필요해 당분간 불편이 지속 될 전망이다. 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7일 오후 5시 기준 보고서를 통해 "전산시스템 647개 중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대국민 서비스가 436개이고 나머지 211개는 공무원 업무용 행정내부망 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가동이 중단된 서비스에는 ▲ 권익위원회 국민신문..

여야, 국정자원 화재에 "국민불편 최소화" 한뜻에도 책임 공방
여야, 국정자원 화재에 "국민불편 최소화" 한뜻에도 책임 공방

여야 정치권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국민 불편을 최소화를 위해 빠른 사태 수습을 촉구했다. 현재 여야 모두 사태 수습이 우선이라는 인식은 같지만, 벌써 진상 규명과 책임 소재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면서 여야 간 공방이 거세지는 모습이다. 앞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이 중단됐다. 화재는 발생 21시간 45분에 완진됐고, 복구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가 주요 행정 시스템이 화재로 전면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에 여야 정치권도 긴박하게 움직..

추석 명절 전 공공기관 사칭 등 스미싱 기승 "출처 불분명 URL 클릭·전화 금지"
추석 명절 전 공공기관 사칭 등 스미싱 기승 "출처 불분명 URL 클릭·전화 금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다양한 사이버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정부가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 택배, 지인 사칭 등 수법이 대표적인데,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주소(URL)를 누르거나 전화해선 안 되며 개인정보를 요구할 때도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금융위원회·경찰청·한국인터넷진흥원·금융감독원은 추석 전 다양한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등 사이버사기에 대한 국민 피해가 우려된다며 28일 피해 최소화를 위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최근 수법으로 공공기관을 사칭해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