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이야기]그 시절 다방은 청춘들 약속장소로 '각광'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커피이야기]그 시절 다방은 청춘들 약속장소로 '각광'

응접실·휴게실 등 다용도공간… 성인이후 자유로운 출입 '북적' 1970년대 인기DJ 전성기 도래

  • 승인 2016-02-18 16:12
  • 신문게재 2016-02-19 13면
[바리스타P의 커피이야기]

▲ 박종우 바이핸커피 대표.
▲ 박종우 바이핸커피 대표.
1960년대 다방의 모습을 잘 그린 노래가 있습니다. 최백호의 노래 '낭만에 대하여' 입니다. “그야말로 옛날식 다방에 앉아 도라지 위스키 한 잔에다 짙은 색소폰 소릴 들어 보렴~”. 다방에서 '도라지 위스키'라니. 1962년 이전에는 다방에서 술을 판매하면 안된다는 법적 근거가 없어 공공연히 술을 팔고 있었습니다. 그 후 식품위생법이 제정되면서 술을 못 팔게 된 것 뿐입니다. 도라지위스키에는 도라지가 들어가지 않았고, 단지 위스키 제조 회사의 상품브랜드였습니다. '도라지위스키'는 주정에 위스키 향을 섞은 위스키 맛 소주였습니다. 술을 못 팔게 하자 단가를 올리는 위한 방편으로 개발한 메뉴 '위스키티', 즉 '위티'였고 곧 도라지위스키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 시절 우리나라의 다방은 거리의 응접실도 되고, 사무실, 휴게실도 되고, 데이트 장소도 되는 등 세계에서도 그 유래를 찾을 수 없는 묘한 곳이었습니다. 그래서 1960년대 말 미국 공보처는 우리나라 다방의 속성을 정리하여 '한국의 사교장'이라는 12장짜리 보고서를 내기도 합니다.

1970년대는 음악다방의 시대입니다. 또한 1970년대 주요 건물 앞의 약속 장소는 커피 없는 야외다방 역할을 하였습니다. 70년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출입이 자유로워진 곳이 술집과 다방이었습니다. 커피는 대부분 성인이 된 20살부터 마셨고 그때부터 우리는 낭만을 찾았습니다. '장계현'의 <나의 20년> 중 “동녘에 해뜰 때 어머님 날 낳으시고… 커피를 알았고 낭만을 찾던 20살 시절에 나는 사랑했네.”

1970년대 '오비스캐빈'과 이종환의 '쉘부르' 같은 전문 음악다방이 인기를 끌기 시작합니다. 장발이 유행하던 시절에 뒷주머니에 도끼빗을 꽂고 다니며 신청곡을 받아 LP 레코드판을 찾아 음악을 들려주던 음악 다방 DJ. 우리나라 DJ 1호는 '최동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어 이종환, 김광한, 황인용, 김기덕 등 기라성 같은 DJ들의 시대입니다.

인기 DJ들의 시대인 70년대 후반 가수 윤시내의 노래 '열애'로 유명한 'DJ 배경모'의 사랑 이야기가 있습니다. 후렴구 “이 생명 다 하도록 이 생명 다하도록 뜨거운 가슴속 불꽃을 피우리라”. 배경모는 1970년대 부산지역 청취자들을 사로잡은 '별이 빛나는 밤에'와 '별들의 속삭임'을 진행한 유망한 DJ이자 연출가였습니다.

젊은 나이에 암으로 사망(1978)한 그가 생전에 마지막으로 사랑하는 부인을 위해 쓴 시에 최종혁 작곡가가 곡을 붙여 유명해진 곡입니다. DJ 배경모의 슬픈 사랑 이야기는 1982년 영화로도 제작됩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