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권택 감독 "지금 남북관계, 전쟁 겪은 우리는 겁난다"

  • 핫클릭
  • 방송/연예

임권택 감독 "지금 남북관계, 전쟁 겪은 우리는 겁난다"

  • 승인 2016-02-20 09:16


임권택 감독에 대한 이미지는 주로 영화 '취화선'과 '서편제' 그리고 '춘향뎐'으로 연상되곤 한다. 한국적인 정서와 철학을 깊이 있게 풀어낸 그의 영화는 국내외 가릴 것 없이 걸작으로 꼽힌다.

그는 직접 6·25 전쟁을 겪은 세대다. 전쟁으로 인한 고통과 가난까지 몸소 겪었다. 분단 현실과 이념 대립이 그의 중기 영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다. 소위 '반공 영화'로 분류됨에도 이들 영화는 모두 '북한에 대한 혐오'보다는 '분단과 이념 대립이 빚어낸 아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금 남북 관계는 '신냉전시대'가 연상될 정도로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남과 북을 연결하는 통로였던 개성공단은 폐쇄됐고, 정부·여당은 연일 대북 강공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세계 질서를 좌지우지하는 미국과 중국의 역학관계 안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위기는 고조되고 있다.

"앞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대북강공 얘기가 많이 나올 거야…."

한국 영화의 거장이자 영화적으로 북한을 다뤄 온 임권택 감독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는 남북관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그는 무엇보다 개성공단 폐쇄를 돌이킬 수 없는 일이라고 봤다.

"이미 정부의 결정이 내려진 상태인데 뭘 더 어쩔 수가 있겠어요. 관계가 좋게 회복되면 좋은 것이지만 현재 그런 상태가 아니잖아요."

상황은 임 감독이 바라는 쪽과 정반대로 흘러가고 있다. 머지않아 전쟁이 일어날 것처럼, 그가 불안을 숨기지 않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우리는 남북 관계를 편안한 쪽으로 가도록 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북한은 계속 우리를 조여 왔죠. 전쟁이 나면 안 되는데 전쟁이 나게끔 판세가 돌아가고 있어요. 북한의 무기는 결국 미국이 아닌 우리를 조준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NEWS:right}

임 감독은 스스로를 "전쟁을 겪고 그것을 영화로 만든 세대"라고 칭했다. 이념 대립에서 불거진 잔혹한 전쟁은 평생 그의 인생에 지울 수 없는 발자국을 남긴 셈이다.

해방 이후 한반도를 휩쓴 이념 대립을 그린 조정래 작가의 소설 '태백산맥'을 영화로 만들 당시에도 그는 정부 권력의 압력을 받아가면서도 끝내 영화를 완성했다.

"전쟁을 겪고, 그 전말을 알고 있는 세대에게는 현 상황이 겁이 납니다. 전쟁이 우리에게 무엇을 남기는지 뼈저리게 느꼈기 때문에 그런 작품들을 했어요. 세월이 간다고 해서 그런 악몽이 지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노컷뉴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