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톡] 강인한 생명력의 매력

[공감 톡] 강인한 생명력의 매력

그것은 우리에게 시사(示唆)하는 바가 크다

  • 승인 2016-09-02 01:00
  • 김소영(태민)김소영(태민)
어머나, 어쩜 이렇게! 탄성이 절로 나왔다.

오늘 옥상텃밭에 올라가 보니 방긋방긋 환하게 웃어대는 고운 얼굴들이 나를 황홀경(恍惚境)에 빠지게 했다. 그리 거칠어 보이는 몸에서 어찌 그렇게 환한 웃음을 지어 보일 수 있는지.

온몸을 가시로 둘러쳤기에 틈을 보이지 않을 것 같았던 선인장이 아름다움을 숨겨 놓았다가 이렇게 드러내어 생명력의 신비를 보일지 어찌 알았겠는가. 올 여름 달포나 계속되는 가뭄과 무더위 속에서 고운 자태를 뽐내는 선인장 꽃. 한 송이 자태를 드러내기 위하여 얼마나 오랫동안 인고(忍苦)하며 아픔을 견디어 내었을까?

 
선인장은 주로 건조한 사막에서 살기 때문에 살아남기 위해서 잎을 가시로 퇴화시켰다 한다. 그리고 퇴화된 가시로 수분 증발을 최대한 줄이고, 몸통인 줄기는 강렬하게 내리쬐는 태양열과 건조(乾燥)에 견디기 위해 물을 저장해 놓는다고 한다. 이렇듯 몸속에 물을 많이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사막과 같이 물이 적은 환경에선 수분 섭취를 하려는 동물의 먹잇감이 되기 쉽다고 한다. 그래서 퇴화된 잎을 이용해 온몸을 가시로 덮어 다른 동물들에게 먹히는 것을 방어하고 있다는 것이다. 참 얼마나 놀라운 자연의 신비요 우리 인간들이 배워야 할 지혜로움인가?

하지만 선인장 꽃은 아름다움에 비해 하루만 피고 쉽게 시들어 버려 우리에게 안타까움을 준다.

왜 그럴까?  도대체 수많은 고통을 이겨내고 자랑스럽게 피어난 선인장 꽃에게 하루살이를 준 까닭은?

이런 악조건을 이겨내고 화사하게 피어오른 선인장의 꽃을 보며 과거 우리 조상들의 삶이 그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면 우리 민족도 수많은 고통을 이겨내고 피워낸 선인장 꽃처럼 하루아침에 시들어 버리고 말면 어찌한다 말인가.

 
우리 민족 5천년 역사를 되돌아 볼 때 중국과 일본의 수많은 침략, 그리고 36년이라는 일제 식민지로 인한 핍박과 고난, 거기에 8.15해방이 되자 우리민족끼리 동족상잔의 피비린내 나는 6.25전쟁이며, IMF사태에 이르기까지 어려운 시기를 많이 겪어 왔다.

그렇게 우린 5000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가난하게 버텨왔다. 그러면서도 우리 민족은 평화를 사랑하고 전통을 중시하며 인정이 두텁고 이웃과 상부상조하는 내공(內攻)을 마음속에 길러왔던 것이다. 소비를 줄이고, 모든 것을 아끼며 견뎌내었고, 70년대에 와서는 대통령과 한 마음이 되어 새마을운동을 전개하여 오늘날의 우리나라를 있게하였다. 그 결과 1988년에는 서울올림픽을 개최하여 세계인들에게 우리의 발전된 모습도 뽐내었고, 2002년에는 월드컵 개최로 우리 국민들의 단합된 열정적인 거리 응원에 세계인들을 놀라게도 했으며 국민소득 2만 5천 불 시대로 성큼 다가서게 했던 것이다. 그러나 2만 5천불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그 부유함이 우리 조상들께서 인고(忍苦)하며 쌓아온 노력의 결과라는 것을 잊고 산다.
 
어느 날이던가. 대전에 살고계신 은사님께서 지인으로부터 받은 글이라 하시면서. ‘춘화현상’(春化現象 – Vernalization)에 대한 글을 보내주셨다.

⌜호주 시드니에 사는 교민이 고국을 다녀가는 길에 개나리 가지를 꺾어다가 자기 집 앞마당에 옮겨 심었는데 이듬해 봄이 되어도 맑은 공기와 좋은 햇볕 덕에 가지와 잎은 한국에서 보다 무성했지만 꽃은 피지 않았다한다. 첫해라 그런가보다 여겼지만 2년째에도, 3년째에도 꽃은 피지 않았다 한다. 이리저리 수소문 끝에 알게 된 결과 한국처럼 혹한의 겨울이 없는 호주에서는 개나리꽃이 아예 피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저온을 거쳐야만 꽃이 피는 것을 전문용어로 '춘화현상'이라 하는데 튤립이나, 히아신스, 백합, 라일락, 철쭉, 진달래 등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는 것이다.

참으로 놀라운 사실이다. 이처럼 우리가 2만5천 불의 혜택을 누리며 사는 것도 과거 5천 년이란 긴 세월을 움츠리고 살며 고난의 인내를 겪었기에 가능했던 일인 것이다. 혹자는 나 혼자 잘나서 잘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린 혼자서는 살 수 없다. 과거 5천 년 역사가 그것을 뒷받침해주고 있는 것이다. 수많은 외세의 침략이 있을 때마다 우리는 힘을 합쳐 막아내었고, 홍역이나 천연두가 돌 때나 가뭄과 홍수가 올 때도 힘을 합쳐 막아내었던 것이다.
 
‘더 나은 나’는 나 혼자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더불어 노력할 때 ‘더 나은 내’가 있고, ‘더 나은 우리’가 있으며, ‘더 나은 우리나라’가 있는 것이다. 예전의 어려움을 잊고 나만 잘났다고 경거망동(輕擧妄動) 한다면 가뭄을 이겨내고 활짝 핀 선인장 꽃을 볼 수 없을 것이다. 핀다한들 하루살이로 끝나버릴 것이다. 그래서 정치지도자들도 정권을 교체하기 위해 아웅다웅하지 말고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해 노력하기를 국민들은 바라고 있는 것이다.
 
기나긴 가뭄과 무더위를 이겨내고 활짝 핀 선인장 꽃!

그것은 우리 민족끼리 내홍(內訌)을 겪고 있는 현실에서 시사(示唆)하는 바가 크다.

/김소영(태민) 시인

▲ 김소영 시인
▲ 김소영 시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3.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4.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5. 김장 필수품, 배추와 무 가격 안정화... 대전 김장 담그기 비용 내려가나
  1. 대전교육청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 '최우수'
  2.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국 신청률 97.5%… 충청권 4개 시도 평균 웃돌아
  3.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4. 대전대 박물관, 개교 45주년·박물관 개관 41주년 기념 전시회 개최
  5. 최고 1436% 이자 받아챙긴 40대 대부업자 실형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3일 열리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당일 수험생은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반드시 수험표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단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구된다. 교육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을 향해 수능 하루 전인 12일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여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을 안내받을 것을 당부했다. 수험표에 기재된 본인의 선택과목을 확인해야 하며 시험 당일 시험장을 잘못 찾아가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위치를 파악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시험 당..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약 7개월 앞두고 여야 지도부가 잇따라 대전을 찾아 충청 민심 다지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4일 한남대에서 특강을 했고,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5일 대전시청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는 등 충청권에서 여야 대표가 맞불을 놓는 모양새다. 거대 양당 대표의 이같은 행보는 내년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5일 대전시청에서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현황과 주요 현안을 점검한다.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