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교육청, 내년도 예산 5511억원…8.7% 증가

  • 정치/행정
  • 세종

세종교육청, 내년도 예산 5511억원…8.7% 증가

  • 승인 2016-11-16 13:23
  • 신문게재 2016-11-16 5면
  • 세종=박병주 기자세종=박병주 기자
교육 자치 구현ㆍ학교 혁신 집중

교수ㆍ학습 중심 학교 조성 등 4대 정책 방향 추진




세종교육청이 내년 교육 자치 구현과 학교 혁신에 예산을 집중투자한다.

또 돌봄과 나눔 가치가 숨쉬는 지역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해 4대 정책 추진에 중점을 둔다.

세종교육청은 2017년도 본예산안을 전년도(5068억원)보다 8.7%(443억원) 증가한 5511억원으로 편성했다고 16일 밝혔다.

예산편성 과정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폭넓은 주민 의견을 수렴, 도서관 환경 개선과 도서 확충 등 15억원, 혁신학교 운영비 6억원 등 주민참여예산에 전년도보다 21억원 많은 45억원을 편성했다.

우선 내년도 가장 많이 투입되는 예산은 인건비다.

2017년 17개 학교가 신설됨에 따라 인건비가 전년도보다 298억원 증가한 2429억원을 배정했다. 운영비는 311억원에서 89억원 늘어난 400억원을 편성했다.

세종 교육 4대 정책 방향 추진을 위한 교육사업비도 전년대비 43억원 증가한 1060억원을 배정했다.

우선 민주적 공동체로 성장하는 고교 상향 평준화 기반조성을 위한 일반고 교육역량강화지원비 5억원, 고교 교육과정 특성화 사업비 2억원을 올렸다.

가정 원인으로 인한 학교 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을 지원하는 가정형 Wee센터 운영 지원비 2억원, 교수ㆍ학습 중심의 새로운 학교를 위해 교과교실제운영 10억원,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13억원, 외국어교육 23억원 등을 배정했다.

우수인재 유치를 위한 제2 특성화고 시설 구축에도 예산을 반영했다. 설계비와 시설비, 감리비 등 32억원을 편성해 전문기술인 양성에 집중한다.

협력으로 상생하는 지역교육공동체를 위한 돌봄과 나눔 가치가 살아 숨 쉬는 교육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방과후학교 운영 28억원, 초등 돌봄 교실운영 26억원, 마을공동체 사업비 1억원을 반영했다.

현장중심 교육행정체제 구축을 위해 학교시설비 1186억원, 급식비지원 185억원, 신설학교 개교지원비 56억원을 책정했다.

또 다양한 교육 수요 부응과 단층제 교육청의 현장지원 업무 강화를 위해 복합형 직속기관 설립비 29억원을 편성했다.

그러나 유치원ㆍ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은 어려운 예산 사정을 고려해 부득이 유치원 누리과정 예산 81억원만 편성해 어린이집 보육대란 우려의 여지를 남겼다. 올해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은 160억원 이었다.

최 교육감은 “세종시와 교육행정협의회를 통해 읍ㆍ면지역 교육력 강화와 다양한 직속기관ㆍ학교 설립 등 교육 재원 확보를 위해 비법정전입금 지원 확대에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 완성형이 아닌 진행형인 세종교육 건설을 위해 교육재정 운영의 효율성 등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고양시 일산서구, 2025년 교통유발부담금 40억 원 부과
  2.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3. 천안시, '1사1그룹홈 한마음 대회' 개최
  4. 천안시도서관본부, 11월 1일 북페스티벌 개최
  5. 천안법원, 주정차위반 불복 공무원 협박한 70대 남성 '징역 8월'
  1. 한기대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대학원생 모집
  2. 천안시복지재단, 어린이 나눔 활동으로 따뜻한 마음 전해
  3. [문예공론] 한글날에 드리는 마음
  4. 자전거로 '세종 국회·대통령실' 부지 찍고 경품 타자
  5. 걷거나 달리거나 '국회·대통령실' 한바퀴...상품은 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