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놀이에 들뜬 설렘이 악몽으로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단풍놀이에 들뜬 설렘이 악몽으로

  • 승인 2016-11-16 16:40
  • 신문게재 2016-11-16 9면
  • 구창민 기자구창민 기자
10∼11월 교통사고 연중 최다

단풍놀이철인 10월과 11월에 연중 교통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체로 이동하는 나들이객이 몰리면서 대형버스 사고도 잦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6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11년부터 작년까지 10월과 11월 평균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각각 2만 531건·2만 94건으로 연중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 기간 연평균 발생 건수인 1만 8605건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다수 행락객이 탄 대형차량 운행이 늘어 버스 사고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2015년 월평균 버스 교통사고 가운데 10월 평균 건수는 노선버스 672건·전세버스 144건으로 모두 연중 최고치를 보였다.

지난 6일에도 대전 회덕분기점에서 산악회원들을 태운 관광버스가 앞으로 무리하게 끼어든 승용차를 피하려다 전복해 4명이 숨지고 20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나들이 철 타 시도로 향하는 승객들이 많아지면서 사고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교통 당국은 이 시기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나들이 철 대형 교통사고를 막으려면 운전자는 과속이나 끼어들기 등 난폭운전을 삼가야 한다. 장거리 운전할 때는 도중 충분히 휴식해야 한다. 승객은 반드시 안전띠를 착용하고, 차내 음주·가무 등으로 운전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연중 교통사고 발생이 가장 잦은 가을철에는 단풍여행 등 나들이로 들뜬 나머지 안전에 소홀해져 큰 사고가 일어나기 쉽다”며 “운전자와 탑승객 모두 안전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구창민 기자 kcm26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고양시 일산서구, 2025년 교통유발부담금 40억 원 부과
  2.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3. 천안시, '1사1그룹홈 한마음 대회' 개최
  4. 천안시도서관본부, 11월 1일 북페스티벌 개최
  5. 천안법원, 주정차위반 불복 공무원 협박한 70대 남성 '징역 8월'
  1. 한기대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대학원생 모집
  2. 천안시복지재단, 어린이 나눔 활동으로 따뜻한 마음 전해
  3. [문예공론] 한글날에 드리는 마음
  4. 자전거로 '세종 국회·대통령실' 부지 찍고 경품 타자
  5. 걷거나 달리거나 '국회·대통령실' 한바퀴...상품은 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