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 57강 만두(饅頭)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 57강 만두(饅頭)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2-09 10:1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57강 만두(饅頭) : 메밀이나 밀가루를 반죽하여 소를 넣고 빚어 삶거나 찐 음식

글 자: 饅(만두 만) 頭(머리 두)

출 전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사물기원(事物紀原 : 饅頭疑自武候始也)

비 유: 하늘 및 조상에 제사 지낼 때 쓰는 귀한 음식. 혹은 음양(陰陽)이 바뀔 때 축하를 위해 먹던 음식





이제 며칠 있으면 민족 최대명절인 설이다.

어릴 적에는 무단히도 기다려졌던 날이 아니었던가. 특별한 것도 없는 것 같은데 괜한 설래임, 기다림, 뭐 그런 거였던 것 같다. 하기야 그 시절에는 며칠 전부터 탁주(濁酒)를 빚고, 두부(豆腐)를 만들며, 조상님들께 제(祭) 올릴 장거리와 새 양말 등은 어린 마음을 흔들어 놓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집안 아낙네들의 분주한 움직임에서 느낄 수 있었던 기대되는 음식과 고소한 기름 냄새(부침게를 만드는 냄새) 등은 지금도 그 정서(情緖)를 잊지 못해 명절이면 무조건 고향을 찾고자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아련한 어머니의 손맛이 그리워서…….

설날 제사상의 만두(饅頭)는 아래와 같은 신성한 역사적 사실이 있다.

후한(後漢) 삼국시대 북벌(北伐)을 생각하고 있는 촉(蜀)의 승상(丞相) 제갈량(諸葛亮)은 후방의 근심거리인 남방(南方)의 후환(後患)을 제거한 후 위(魏)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당시 남쪽 지방의 오랑캐라고 여기던 여러 나라들을 평정(平定)하고자 출병했고, 저항이 만만치 않았던 맹획(猛獲)을 일곱 번이나 사로잡고, 일곱 번이나 풀어준 후 남쪽의 오랑캐들을 완전히 정복하고 나서 위연(魏延)을 선봉으로 삼아 본국으로 철수하는 도중 '노수(瀘水)'라는 강에 도착했는데 갑자기 음산(陰散)한 구름이 사방에서 모여들면서 별안간 일진광풍(一陣狂風)이 일어나더니 캄캄한 천지 속으로 모래와 돌이 날아들며 하늘이 어두워지고 풍랑이 거세지면서 군대가 강을 건널 수 없게 됐다.

제갈공명은 갑자기 당하는 일이라 당황하면서 배웅 나온 맹획(猛獲)을 불러 물어본다. 맹획이 "이것은 물속에 있는 창신(猖神)들의 장난입니다. 창신이란 원귀(怨鬼)가 된 미친 귀신이며, 이강을 배를 타고 왕래하자면 반드시 제(祭)를 지내야 합니다."

공명이 "전쟁 중에 무엇으로 제를 지내는가?" 맹획이 대답하길 "옛날 이곳 풍속에 창신이 장난을 하면 억울하게 죽은 원혼이 노해서 그런 것이니, 마흔아홉 명의 사람 머리와 검은 소(黑牛), 흰 양(白羊)으로 제사를 지내면 바람이 잔잔해지고 풍랑이 멎으며 해마다 풍년이 든다고 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공명은 "이것은 모두 전쟁을 일으킨 나의 죄이다." 그러면서 공명은 "이곳은 본시 사람이 죽어서 원귀가 되었는데 또 다시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생사람을 죽인단 말인가! 내가 따로 주견이 있다."라고 하면서 공명은 행주(行廚/행군하는 진중에 음식을 만드는 직분)를 불러 "소와 말을 잡아 면(麵)으로 고기를 반죽해서 사람의 머리같이 만들어라. 그리고 이름을 만두(饅頭)라고 하라"고 하였다.

이윽고 만두가 완성된 이날 밤 공명은 노수강변에 향탁(香卓)과 향안(香案)을 놓고 제물을 진열한 후 옥으로 만든 등잔 마흔아홉 개에 불을 켜고 정성을 다해 제문을 읽고 소리높이 통곡한다. 진정으로 슬프게 우는 공명의 통곡 소리는 삼군을 경동(驚動)시켰고. 군사들도 다 함께 울어 눈물을 강물에 뿌렸다. 그러자 하늘 한 복판에 구름과 안개가 생기고, 은은히 수천 수백의 귀신들이 바람을 따라 흩어졌다. 공명은 제사 지낸 음식물을 모두 노수 강물 속에 공양했다.

다음날 공명은 대군을 인솔하고 노수 남안(南岸)에 당도하니 구름은 흩어지고 안개 또한 걷히고. 바람도 잔잔하고 물결 또한 평온하였다. 이에 촉나라 군사들은 아무 탈 없이 모두 노수를 건너 고국 촉(蜀)으로 돌아갔다.

만두의 유래를 설명하는 이 이야기에서 공명의 휴머니즘을 찾을 수 있다. 그는 사람의 목을 베지 않고, 만두를 대신으로 하여 인간의 존엄을 알게 했다. 당시 귀한 밀가루로 만든 만두는 너무나 귀한 음식이어서 하늘에 바치는 제물로 쓰였다. 만두가 나오는 초기 기록에 만두가 제물(祭物)로 그려져 있는 이유다. '사물기원(事物紀原)'에서 만두는 정월 제사에 제물로 놓는다고 했고 '병부'에도 만두는 정월에 먹는 음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 그 당시 보통사람들은 기장, 수수를 먹거나 잡초에 가까운 피를 곡식으로 먹었다. 그런데 부자나 귀족들이 곱게 빻은 밀반죽에 고기를 싸서 먹는 것을 보고는 아픈 사람도 병이 낫고, 죽은 사람도 다시 살아올 정도로 좋은 음식이라고 여겼을 것이다.

한해의 최대명절인 설날, 코로나19로 대부분 답답한 명절을 보내게 되었다.

서로 만나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좋은 덕담(德談)을 나누면 최상이겠지만 국민 모두의 안전을 위하여 아쉬운 마음을 깊은 정성으로 대신해야 할 것이다.

춘추시대 역사서 '국어(國語)'에 "대중의 마음은 성을 이루고, 대중의 입은 무쇠를 녹인다."(衆心成城 衆口?金 / 중심성성 중구삭금) 는 구절이 있다. 이번 설 명절 국민 모두가 한 마음이 되어 모임을 자제하고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극 동참한다면 코로나19는 쉽게 극복될 것이다.

마치 만두(饅頭)의 효과에 노수(瀘水)의 원귀(怨鬼)가 흩어지듯…….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