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한식탁: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6. 건강하려면 '자연식물식'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유난한식탁: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6. 건강하려면 '자연식물식'

  • 승인 2021-08-31 08:43
  • 수정 2021-09-11 09:44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KakaoTalk_20210728_112436230

 

 





자연식물식은 설탕과 기름도 배제한 채식

대중매체가 잘못된 건강정보 전파



식탁
게티이미지뱅크

"건강을 위해서라면 고기를 먹어야 하지 않을까?" 채식을 접한 사람들이 가장 먼저 의문을 품는 점이다. 채식을 선택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환경과 윤리적 이유로 채식을 실천하거나 만성질환에 시달리며 의도치 않게 채식을 선택하는 사람도 많다. 채식주의자 이의철 씨(유성선병원 직업환경의학센터장)는 채식의 이유로 '건강'을 꼽았다.

 

이 씨는 채식을 실천하는 의사·치의사·한의사·수의사들의 모임인 베지닥터 사무국장이다. 매일 여러 사업장을 돌아다니며 직업과 관련된 질병을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직업환경전문의인 그는 노동자들의 건강상태, 노동환경, 생활습관을 살피다 식단에 눈을 돌렸다.  

 

Organic Vegan-07698 (1)
유성선병원에 파는 자연식물식 비빔밥. 이의철 의사 제공.
이 씨는 "약을 먹어서 혈압·혈당 ·콜레스테롤이 잘 유지가 됐다면 의사로서 기꺼이 약을 처방하겠지만 우리나라에 약을 먹어도 만성질환을 치료하지 못하는 사람이 최소 20~30% 정도된다" 고 말한다. 혈압·당뇨·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의 생활습관을 살피다 식단에 시선을 돌린 그는 우선 자신의 몸으로 처음 채식을 실험했다. 이후 논문과 참고문헌을 통해 음식을 가공하거나 특정 성분만 추출하지 않고 자연상태의 전체 음식을 먹는 것이 최고의 보약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 씨가 실천하는 채식은 고기, 생선, 달걀, 유제품을 안 먹는 채식을 넘어서 식용유 설탕까지 배제하는 '자연식물식'이다.

다운로드 (3)
유성선병원 직업환경의학전문의 이의철의사가 강연을 하고 있다. 이의철 의사 제공

이 씨는 환경과 윤리적 이유로 채식을 하더라도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서는 건강한 채식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근육을 위해 고기를 먹는 사람이 있는데, 식물로도 단백질이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며 "오히려 동물성 식품으로 단백질을 섭취하면 소화기계질환, 자가면역질환, 심혈관 질환,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성장기 아이들이 고기나 멸치를 먹어야한다는 주장에도 동의하지 않는다. 

 

과거보다 아이들의 동물성식품 섭취량이 크게 늘어 성장 속도도 빨라졌지만 그만큼 만성질환과 암 발생률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 씨는 "과거에는 아이들이 고등학생 때까지 천천히 컸다면 요즘 아이들은 초등학교 졸업할 때까지 과속성장을 하고 이후엔 성장이 서서히 멈춘다"며 "성장속도와 초경 속도가 빨라지며 유방암, 생리전 증후군, 다난성 난소 증후군도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대장암, 전립선암도 증가했다"고 말했다.

GettyImages-1320222353

이어 "천천히 크는 게 만성질환, 암 예방에 훨씬 유리한데 성장에 좋다는 동물성 음식 때문에 한국 젊은이들의 상태가 급격하게 안좋아지고 있다"고 했다. 그 외에도 가축을 밀집 사육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생제도 문제다. 이 씨는 "비건 정크푸드를 계속 먹게 되면 건강 때문에 그 식단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도 어렵게 된다"며 "2~3주만이라도 자연식물식을 하게 되면 식재료 본연의 맛을 알게돼 자연식물식의 맛을 알게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고기를 먹든, 자연식물식을 하든 자신의 자유이지만 결과에 대해 자신이 책임을 져야한다"며 "현명한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5.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1.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