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중도일보 DB] |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적격자는 후보자 적격 심사 등 사전 검증 과정에서 걸러내되, 자격 심사를 통과한 후보자들에겐 최대한 경선 기회를 부여할 가능성이 크다. 당 차원에서도 후보자 심사를 통과한 이들에겐 경선 기회를 보장하겠다는 기본 원칙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부적격자 대상으론 살인, 강도 등 강력범죄 경력, '윤창호법'이 시행된 이후 음주운전이 적발된 경우, 성매매 범죄나 가정폭력, 아동학대 전력이 있는 경우, 투기 목적의 다주택자 등이다. 구체적으론 적격, 예외 없는 부적격, 예외가 있는 부적격 등 기준을 삼아 후보 자격 심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예외 없는 부적격에 해당하면 원천 배제 컷오프된다. 다만 일부 참작이 가능할 경우 후보자 심사는 참여하되, 일정 부분 감산을 주는 방식을 적용할 예정이다. 세 번 이상 탈당한 전력이 있는 인사도 예외 없는 부적격자에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민의힘도 총괄기획단을 조기에 가동하며 지선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우선 연말까지 후보 공천 시스템 윤곽을 만드는 게 목표다. 국민의힘 역시 경쟁력 있는 후보 선출을 위해 경선을 원칙으로 전략공천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흥행과 후보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겠단 전략으로 풀이된다.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도입도 논의할 예정이다. 완전 국민경선이 진행된다면 컨벤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후보자들의 경쟁력도 함께 끌어올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와 함께 정치신인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들도 논의될 전망이다. 청년, 여성 등 경쟁력 있는 정치 신인들의 도전을 유도해 후보 라인업에 참신함을 더하겠다는 목표다. 다만 기존 당원들 사이에서 당 기여도를 공천 과정에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전반적인 대응 기조로는 이재명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투쟁을 이어가면서 민생정당으로도 자리를 잡아 기존 보수층과 중도층을 함께 공략하겠다는 전략을 짜고 있다. 여기에, 당협위원장이 공석이던 당협들도 빠르게 재정비해 지역 조직들의 경쟁력도 함께 높이겠단 계획이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