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대표 제과점 성심당 주목받으며 빵의 도시로 급부상
제과점 수도 2020년 538곳서 2025년 663곳으로 지속 성장
몽심, 정동문화사, 하레하레 등 전국적 이름 알리며 인기
빵의 도시 수식어 당분간 지속에 제과점 수 확장세 전망

  • 승인 2025-10-12 11:51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성심당사진
성심당이 롯데백화점 대전점에 전국 윈도우 베이커리 가운데 최대 면적을 보유한 시그니처 매장을 오픈, 매장을 찾은 고객들이 배달로봇에 실린 시식용 빵을 담고 있다. 이성희 기자 token77@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2020년과 현재를 비교하면 지역에서 125곳이나 확장됐다. 140만 인구인 대전에서 빵집이 지속적으로 늘어난다는 건 그만큼 빵에 대한 인기가 지속적인 확장세를 가져다주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 대전과 인구가 비슷한 광주의 경우 2025년 8월 현재 602곳으로, 1년 전(617곳)보다 15곳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성장이 두드러진다.

제과점 수의 증가는 성심당의 인기가 뒷받침된 것으로 해석된다. 내비게이션 앱 T맵의 빅데이터 분석을 보면, 2022년 여름 맛집 순위 10위권에 이름을 올린 제과점은 군산의 이성당이 유일했으나, 2023년과 2024년 모두 성심당 본점이 1위를 기록했다. 단순한 빵집을 넘어 하나의 여행 목적지로 대전이 각광을 받으면서 대전이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것이다. 빵과 성지순례를 합친 빵지순례가 일시적인 유행에서 여행 트렌드로 판도를 바꾸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결과다. 성심당은 망고 시루와 생귤시루, 무화과 시루 등을 출시하면서 지역의 명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고,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튀김소보로와 보문산메아리 등 여느 빵집보다 저렴하고 맛있는 다양한 메뉴들로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다.

대전이 빵의 도시로 부상하며 성심당과 더불어 여느 빵집도 인기를 구사하고 있다. 지역에선 몽심과 정동문화사, 하레하레, 정인구팥빵, 손수베이커리 등이 빵 맛 집으로 전국적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지역 곳곳에 들어선 빵집들도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을 통해 입소문이 타기 시작하며 대전에서 들려야 할 빵 맛집 등이 전파되고 있다. 빵에 대한 인기가 지속되며 당분간 제과점 수는 증가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지역 외식업계 관계자는 "대전은 곧 빵이라는 수식어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성심당을 방문한 김에 다른 빵도 먹어보자는 심리가 반영되며 여러 빵집이 인기를 얻자, 제과점에 뛰어든 이들이 많아지며 확장으로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년 한글 창제과정 담은 '김진명 소설' 나온다
  2. 한국타이어, 英 전기차 전시회 에브리싱 일렉트릭 판버러 2025 참가
  3. [결혼] 박상용 ㈜서북 대외협력부문 팀장
  4. [결혼] 김영한 천안시의원 여혼
  5. 관저종합사회복지관, "이웃과 함께하는 2025년 한가위 사랑 나눔"
  1. [인터뷰] 중도일보 실버라이프 명예기자 노수빈 시인
  2. '2026지방선거 시민의회추진단' 발대식
  3. '농인 도슨트'를 아시나요?
  4. 대덕구지역자활센터와 최충규 대덕구청장 간담회
  5. 천안시, '1사1그룹홈 한마음 대회' 개최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