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한 식탁: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5. '물살이'들 만나러 수산시장을 가다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유난한 식탁: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5. '물살이'들 만나러 수산시장을 가다

  • 승인 2021-08-24 16:45
  • 수정 2021-08-25 09:54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컷-비건

 





가족·친구와 '추억'이 깃든 곳
동물주의 렌즈 끼면 다르게 보일까



"비건을 접하고 3개월 동안은 고기만 안 먹었는데 이것도 생선에 대한 종 차별인 것 같아서 생선도 안 먹게 됐어요." 그는 대학교 비건 동아리에서 비건을 처음 접하고 3개월 동안은 유제품, 가금류의 알, 어류는 먹는 채식주의자인 페스코로 살다가 육류와 생선은 물론 우유와 동물의 알, 꿀 등 동물에게서 얻은 식품을 일절 거부하고, 식물성 식품만 먹는 비건이 된 지는 4년 차다.



어미 젖소가 농장에서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자기 새끼에게 모유를 못 먹인다는 이야기를 듣고 우유 대신 두유를 먹지만 '해산물은 괜찮아'라고 생각했던 차에 머리를 띵 맞은 기분이었다. '가재는 게 편'이라는 말이 있듯이 소나 돼지와 같은 포유류의 고통에는 공감했지만 어류에 대해선 깊게 생각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동물보호법에 따르면 포유류, 조류와 마찬가지로 어류도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신경체계가 발달한 척추 동물에 해당한다. 지난 17일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집회에서 살아있는 물고기를 길거리에 내던진 단체에 대해 '동물 학대'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KakaoTalk_20210819_170432295
수산시장 수조의 한 '물살이'. 처음으로 그들과 눈을 맞춰본다.
수사기관이 어류에 대해 동물 학대를 인정한 것은 처음이다. 그래서일까 도살장과 달리 수산시장은 접근성이 편리했다. 수산시장은 가족·친구와 추억이 깃든 곳이다. 생일이 되면 도매시장에 싱싱한 회를 먹으러 가곤 했다. 그동안 인간중심 렌즈를 끼고 방문했던 수산시장을 동물주의 렌즈를 끼고 다시 방문했다.

KakaoTalk_20210819_170432725
대전의 한 수산시장에 미꾸라지들이 밀집된 수조에 갇혀있다.
가장 먼저 눈에 띄었던 건 좁은 수조에 밀집해 갇혀있는 물살이들이었다. 바닥에 진흙이 깔린 시냇물이나 늪에 사는 생태적 습성을 가진 미꾸라지에게 수족관은 어떤 공간일까. 딱딱하고 답답한 공간이지 않을까.



KakaoTalk_20210819_170432504
대전의 한 수산시장에 대게가 수족관에 갇혀있다.
다른 수산물도 마찬가지였다. 자연 속 대게는 깊이 30∼1,800m 바다의 진흙 또는 모래 바닥에 산다. 수족관은 대게에게 너무 얕진 않을까.

1198566830
바다 속 물살이들의 모습. 물살이가 있어야 할 곳은 자유로운 바다가 아닐까. 게티이미지
거리두기와 마스크마저도 답답한데 좁고 딱딱한 수족관 속 물살이들은 괜찮을까. 집으로 가는 길에도 수산시장의 호객행위는 계속된다.

KakaoTalk_20210819_170431542
대전의 한 수산시장에 문어들이 놓여있다.

한 상인은 붉은 문어를 툭툭치며 방금 꺼낸 싱싱한 문어라고 소개한다. 문어 옆엔 산낙지도 있었다. 행법은 '척추동물'만 동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산낙지는 동물 학대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러나 지난 해 4·15총선에서 비례대표 의원 후보 5명이 선거에 나선 녹색당은 공약으로 '동물을 산 채로 조리하는 것을 규제하겠다'고 했다. 낙지와 같은 두족류도 고통을 느끼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식물은 뇌와 중추신경계, 통점이 없어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 동물주의 렌즈를 끼고 다녀온 수산시장은 사뭇 낯설었다. 축산업과 마찬가지로 수산업도 공장식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어느 동물보호단체의 구호가 머리 속을 맴돈다. 느끼는 모두에게 자유를.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학교폭력 이력을 평가에 반영해 37명이 불합격한 것으로 조사 됐다.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