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65강 다기망양(多岐亡羊)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65강 다기망양(多岐亡羊)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3-05-24 10:17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65강 : 多岐亡羊(다기망양) : 여러 갈림길 때문에 양(羊)을 잃었다

글 자 : 多(많을 다), 岐(갈림길 기), 亡(망할 망/ 잃을 망), 羊(양 양)

출 처 : 열자 설부편(列子 說符篇), 장자 병무편(莊子 騈拇篇)

비 유 : 학문 역시 갈래가 너무 많아 참된 진리에 도달하기 어렵다. 또는 목적이 분명치 못한 상태에 방침이 여러 가지면 헷갈린다.



전국시대에 양자(楊子)라는 사상가가 있었다. 본명이 양주(楊朱)로 그의 사상은 극단적 개인주의(個人主義)가 특징이다.

어느 날, 이웃집에서 기르는 양(羊) 한 마리가 울타리를 빠져나가 달아나버렸다. 이웃 사람은 양(羊)을 찾기 위해 자기네 하인뿐 아니라 양자(楊子)네 하인들까지 동원하며 야단법석(野壇法席)을 떨었다.

"아니, 그까짓 양 한 마리를 찾는 데 왜 이리 요란(搖亂)을 떠는 거요?" 이웃 사람이 말했다.

"죄송합니다. 양이 갈림길 많은 쪽으로 달아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양을 찾으러 갔던 사람들이 한참 만에 모두 빈손으로 돌아왔다. 양자는 이웃 사람에게 물었다.

"아니, 이토록 많은 사람을 동원하고도 못 찾았단 말이오?"

"어쩔 수 없었습니다. 갈림길이 하도 많아서요."

그 대답을 들은 양자는 어쩐지 시무룩한 표정이 되어 방에 들어가 버렸다. 그리고는 하루 종일 바깥에 얼굴을 비치지 않았다.

'사부께서 갑자기 왜 저러실까?'

제자인 맹손양(孟孫陽)은 스승의 태도가 이해되지 않아, 선배인 심도자(心都子)를 붙들고 물었다.

"사형, 사부님이 남의 양 잃은 일로 왜 저리 기분이 처져 계신지 모르겠소."

"까닭이 있으신 게지. 같이 가서 알아보세."

그래서 두 사람은 방에 들어가 스승을 뵈었다. 심도자가 짐짓 물었다.

"어느 삼형제가 똑같은 스승 밑에서 유가(儒家)의 인의(仁義)를 배우고 집에 돌아왔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버지가 '인의(仁義)란 무엇인가' 하고 물은즉, 맏이는 '인의(仁義)는 제 몸을 아끼고 명예(名譽)를 뒤로 돌리는 것입니다.'라고 대답했고, 둘째는 '제 몸을 던져 명예를 지키는 것입니다' 했으며, 막내는 '제 몸과 명예를 다 보전하는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답니다. 삼형제의 주장은 각각 다르지만 모두 유가(儒家)에서 나온 것인데, 사부님께서는 누가 옳았고 누가 틀렸다고 생각하십니까?"

양자는 짐짓 돌려서 대답했다.

"물에 익숙하고 헤엄을 대단히 잘 치는 사람이 있었네. 그는 돈을 받고 배를 저어 사람들을 건너게 해 주는 일을 했는데, 사업이 잘 되니까 너도 나도 그 일을 배우려고 사람들이 몰려들었지. 그런데 그들 대부분이 헤엄을 칠 줄 모르는 사람들이어서, 일을 채 배우기도 전에 물에 빠져 죽었다네. 원래 일을 배우고자 한 것이지 물에 빠져 죽으려고 한 것이 아니었건만 세상 일이 이렇다네. 자네는 누가 옳고 누가 틀렸다고 생각하나?"

심도자는 아무런 대꾸도 못했다.

스승의 방에서 나오자, 맹손양이 심도자를 보고 물었다.

"사부님이 하시는 말씀은 동문서답(東問西答)이라 무슨 뜻인지 도통 알 수 없습니다. 사형(師兄)께서는 아시겠소?"

"알고말고. 사부님은 '큰길에 나섰으나 갈림길이 많은 탓에 양을 잃었듯이, 학문 역시 갈래를 많이 나누어 놓았기에 본성을 잃었던 것이지. 그렇지만 학문의 근본은 역시 하나인즉, 근본으로 돌아가면 얻을 것도 잃을 것도 없다'고 비유해서 말씀하신 것 같네. 양의 사건을 빌미로 학문 도야(陶冶)의 맹점(盲點)을 깨달으시고 기분이 우울하신 것이었지."

그렇다 두 사람이 하고 있던 일에는 상이(相異)가 있다. 그러나 양을 지킨다는 중요한 목적을 잃고 있었던 것에 대해서는 변함이 없다. 중요한 것은 진정한 목표를 철저하게 파악해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학문만이 아니다. 모든 일 즉, 사람이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서도 시사(示唆)해 주는 바가 큰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금 여러 갈래로 분열(分裂)되어 목표를 잃은 현상이다. 정치, 경제, 안보, 교육, 준법, 도덕 등 모두가 걷잡을 수없이 혼란스럽고 서로가 티격태격하고 있다.

말로는 협치(協治)하면서 속으로는 자기 이익을 우선하는 선공후사(先公後私)를 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3.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4.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5. 김장 필수품, 배추와 무 가격 안정화... 대전 김장 담그기 비용 내려가나
  1. 대전교육청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 '최우수'
  2.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국 신청률 97.5%… 충청권 4개 시도 평균 웃돌아
  3.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4. 대전대 박물관, 개교 45주년·박물관 개관 41주년 기념 전시회 개최
  5. 최고 1436% 이자 받아챙긴 40대 대부업자 실형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3일 열리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당일 수험생은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반드시 수험표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단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구된다. 교육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을 향해 수능 하루 전인 12일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여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을 안내받을 것을 당부했다. 수험표에 기재된 본인의 선택과목을 확인해야 하며 시험 당일 시험장을 잘못 찾아가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위치를 파악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시험 당..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약 7개월 앞두고 여야 지도부가 잇따라 대전을 찾아 충청 민심 다지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4일 한남대에서 특강을 했고,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5일 대전시청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는 등 충청권에서 여야 대표가 맞불을 놓는 모양새다. 거대 양당 대표의 이같은 행보는 내년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5일 대전시청에서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현황과 주요 현안을 점검한다.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