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기부와 착취의 간극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기부와 착취의 간극

인면수심(人面獸心) 단상

  • 승인 2023-06-1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1. 존 데이비슨 록펠러는 미국의 기업인이었다. 앤드루 카네기와 함께 대공황 이전 시대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미국의 기업가였다. 석유 산업에서 돈을 갈퀴로 긁듯 부를 축적하여 이름을 떨쳤다.

그는 불세출의 사업가로 당시 석유 산업의 90%를 독점한 '석유왕'으로 등극했다. 그러나 지독한 구두쇠로 어려운 이웃과 사회에 대한 기부와 자비를 몰랐다. 그러던 중 어느 날 알로페시아(alopecia)라는 탈모증과 비슷한 암에 걸려 1년 시한부 인생을 통고받았다.

이를 걱정한 그의 어머니가 "아들아, 곧 세상을 떠날 텐데 재물에 연연하지 말고 자선 사업이나 하고 가렴"이라고 권유했다. 록펠러는 그때부터 마음을 다잡고 어머니의 말씀에 따라 자선사업을 시작하였다.

시카고 대학교와 록펠러 재단도 설립했다. 덕분에 록펠러는 이때 가슴이 확 트이면서 행복을 느꼈다고 한다. 록펠러는 의사의 선고에도 불구하고 그 후 40년이나 더 살게 되었다.



록펠러는 당시로선 드물게 97세까지 장수했다. 그가 숨질 당시 지녔던 재산만 해도 미국 전체 자산의 1.53%에 달했다. 하지만 그 역시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로 세상을 떠났음은 물론이다.

#2. 사는 게 힘들어서 25만 원을 빌렸는데 석 달 만에 자그마치 "1억 5000만 원 갚아라"며 협박하던 사채 조폭 10명이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전국을 무대로 불법 사채업을 벌인 이들 조직원들의 사채 운용 규모는 1,000억 원대로, 채무자들에게 최대 5,000%에 달하는 살인적인 이자를 받아 챙겼다고 한다.

20~30대의 피의자들인 이들은 2021년 4월부터 인터넷 대부 중개플랫폼을 이용해 급전이 필요한 피해자들에게 접근하여 소액 및 단기 대출을 해주고 최대 5,000%의 이자를 받아 챙긴 혐의로 서민에게서 고혈을 빨아 부를 축적했다.

이들이 정말 악질인 것은 피해자들이 최초 25만 원을 빌리면서 44만 원을 갚기로 했지만, 불과 3개월 만에 1억 5000만 원까지 채무가 증가하는 구조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그뿐만 아니라 이들은 기일 내 돈을 갚지 못할 경우, 채무자의 가족과 직장동료의 신상정보로 수배 전단을 만들어 배포하기도 했다. 또한 자녀를 출산한 부모에겐 아기 사진을 전송하고 살해 위협을 했으며,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매일 수십 통의 욕설 전화를 걸기도 했다는 점이다.

재물은 양가적(兩價的) 관계를 지니고 있다. 위 두 가지 사례에서 우리는 부의 축적 과정과 아울러 그 쓰임새의 선과(善果)와 후과(後果), 즉 기부와 착취의 간극을 새삼 발견하게 된다.

전자는 사업으로 정당하게 번 돈을 사회에 환원했다. 반면 후자는 그 같은 후안무치의 범죄수익금으로 고가의 스포츠카와 명품을 샀는가 하면 월세 1800만 원 상당의 고가 아파트에 살면서 돈을 흥청망청 물 쓰듯 했다.

평소 자원봉사와 기부를 열심히 하는 분과 단체를 자주 취재한다. 그래서 잘 아는데 그들은 한결같이 천사표 마음씨를 지녔다. 비록 자신도 어렵지만 더 힘든 이웃을 배려하는 이타심이 찬란한 아침 햇발(사방으로 뻗친 햇살)보다 널찍하다.

하지만 25만 원을 빌려주고 불과 석 달 만에 1억 5000만 원을 갚으라며 협박을 일삼던 사채조폭들은 각다귀(남의 것을 뜯어먹고 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보다 못한 인면수심(人面獸心)의 악당들이었다.

잘 사는 사람이나 못사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결국엔 누구나 빈손으로 가는 게 인생이다.

홍경석/ 작가, <두 번은 아파 봐야 인생이다> 저자

두아빠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3.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