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71강 망양보뢰(亡羊補牢)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71강 망양보뢰(亡羊補牢)

장상현/인문학 교수

  • 승인 2023-08-02 10:03
  • 수정 2023-08-02 10:08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71강: 亡羊補牢(망양보뢰): 양을 잃고서 우리를 고친다.

글 자 : 亡(망할 망/ 잃을 망) 羊(양 양) 補(도울 보/ 수리할 보) 牢(우리 뢰)

출 전 : 戰國策(전국책), 楚策(초책)

비 유 : 일을 실패한 뒤에 바로 수습하면 그래도 늦지 않음을 비유.





전국 시대, 초(楚)나라의 양왕(襄王)이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政事)를 돌보지 않자 국세(國勢)가 날로 쇠약해져 갔다. 이에 장신(莊辛)이란 신하가 양왕에게 여러 차례 간언(諫言)했지만 양왕은 간언을 듣지 않고 오히려 화를 내며 장신(莊辛)을 꾸짖기만 했다. 장신은 할 수 없이 조(趙)나라로 몸을 피신했다.

5개월 후 진(秦)나라가 초(楚)나라를 침공(侵攻)하여 도성(都城)까지 짓밟았다. 양왕은 성양(城陽)으로 달아났다. 양왕은 그제야 장신의 충고가 옳았다는 것을 깨닫고 그를 불러들였다.

장신이 돌아오자 양왕은 친절히 그를 맞이하면서 말했다.

"과인이 애당초 그대의 말을 들었다면 오늘 이 지경에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오. 이제 과인이 어찌하면 좋겠소?" 장신이 대답했다.

"신은 일찍이 이런 속담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토끼를 발견하고 나서 사냥개를 돌아봐도 늦지 않고, 양(羊)을 잃은 후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라는 속담 말입니다.(臣聞鄙語曰, 見兎而顧犬, 未爲晩也. 亡羊而補牢, 未爲遲也.)

'망양보뢰(亡羊補牢)'는 뒤늦은 행동을 힐난(詰難)이나 비방(誹謗)만 하지 말고, 실수(失手)나 실패(失敗) 후에 재빨리 수습(收拾)하면 그래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늦었다고 생각했을 때가 가장 빠르다'라는 서양 속담과 그 의미가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흔히 사용하는 속담 중에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이 있다. 우리는 이 속담을 쓸데없는 일을 한다는 식으로 받아들인다. 즉 지킬 소도 없는데 무엇 하려고 외양간을 고치느냐고 비난하는 것이 그것이다.

과연 그럴까?

잃어버린 소 이외에 다른 소가 있을 수 있고, 또 앞으로 소를 키울 수 있으므로 속담을 다른 식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이 고사에서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일반적으로 알고 있던 망양보뢰(亡羊補牢)가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처럼 '일이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다.'는 부정적인 의미라기보다는, 비록 과실이 있어도 늦게나마 고치면 된다는 긍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는 사실이다.

둘째, 이와 관련해 그동안 남의 잘못이나 과실을 헐뜯고 탓하기만 했지,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에는 소홀함이 없었는지 다시 한 번 돌아봐야 한다는 점이다.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이란 말이 있다. 조선 인조 때 학자 홍만종의 ?순오지?에 나오는 말이다.

'사람이 죽은 후에 아무리 좋은 약을 써도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이는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그러나 현명(賢明)한 사람은 그러한 잘못이 반복되거나 더 확대되지 않도록 차후 대비에 대한 철저한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사람이 참으로 조심하지 않으면 편안함이 오히려 독(毒)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소를 잃었다고 절망만 할 것이 아니라 외양간을 고쳐서 다시 소를 키우고 조심하여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時或見欺不足爲恥 旣有見欺而不覺見欺(시혹견기부족위치 기유견기이불각견기)/ 어쩌다 속은 것은 부끄러울 것이 없지만 이미 속임을 당하면서, 그 속임 당함을 깨닫지 못한다면 이것은 부끄러워해야 한다. (조선중기 학자 최한기의 말이다.)

어쩌면 한번 양을 잃은 다음 재차의 실수가 없도록 단속을 잘해 양떼들의 양육이 번창하는 지혜가 더 이로울 수가 있는 것이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이 전쟁을 회고하면서 쓴 징비록(懲毖錄)은 바로 징전비후(懲前毖後)의 글귀에서 따다 붙인 제목이다. 곧 왜란을 거울삼아 스스로 힘써 다시는 그런 전철(前轍)을 받지 말자는 뜻이다.

요즈음 묻지마 살인이나 이유 없는 범죄행위가 속출하고 있다. 이를 정부나 관계기관만 비방할 것이 아니라 범죄를 범하는 원인을 잘 따져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함이 필요하다.

늦은 감이 있지만 초등학교 때부터 도덕과 인륜교육을 도입하여 인격을 함양시키고 윤리(倫理)교육을 강화하여 인간의 가치를 알게 하는 교육을 시행하는 것도 차후를 대비 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아닐까?

장상현/인문학 교수

20220607010003192000092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