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여행] 2-피난살이 설움을 안고 태어난 대전 숯골냉면

  • 문화
  • 맛있는 여행

[맛있는 여행] 2-피난살이 설움을 안고 태어난 대전 숯골냉면

김영복/식생활문화연구가

  • 승인 2023-08-21 00:00
  • 수정 2023-08-22 14:16
  • 신문게재 2023-08-22 10면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
대전 '숯골원냉면'의 물냉면과 만두
요즘 30℃를 웃도는 찜통더위가 연일 계속된다.

이런 날은 시원한 냉면 한 그릇이 생각이 난다. 원래 '냉면(冷?)'은 '이냉치냉(以冷治冷)'이라고 겨울에 먹는 음식이라고 하지만 이제 여름으로 보편화된 것 같다.



냉면은 순 우리말로 '차가운 국수'다. 이 '차가운 국수'를 한문(漢文) 문화권에서 '냉면'이라 하는 것이다.

'냉면'을 처음 기록한 문헌은 조선 중기 문신이며 학자인 계곡(溪谷) 장유(張維1587~1638)의 『계곡집(谿谷集)』 제27권 '紫漿冷?(자장냉면) 자줏빛 육수에 냉면을 말아 먹고'라는 시(詩)다.



"已喜高齋敞(이희고재창) 높다랗게 툭 터진 집 좋다마다요

還驚異味新(환경이미신)게다가 별미(別味)까지 대접을 받다니요

紫漿霞色映(자장하색영)노을 빛 영롱한 자줏빛 육수

玉粉雪花勻(옥분설화균)옥 가루 눈꽃이 골고루 내려 배었어라

入箸香生齒(입저향생치)입 속에서 우러나는 향긋한 미각

添衣冷徹身(첨의냉철신)몸이 갑자기 서늘해져 옷을 끼어 입었도다

客愁從此破(객수종차파)나그네 시름 이로부터 해소되리니

歸夢不須頻(귀몽불수빈)귀경(歸京)의 꿈 다시는 괴롭히지 않으리라"

그런데 면의 형태가 어떤지는 몰라도 고려 말에 더운 여름에 냉면을 먹었다는 내용이 『목은집(牧隱集)』에 나온다. 고려 3은(三隱) 중에 하나인 목은 이색(李穡,1328~1396)은 '하일(夏日)의 즉사(卽事)'라는 제목으로 더운 여름에 시원한 냉면을 먹은 것을 시로 읊은 것이다.

"火雲終日照衰顔(화운종일조쇄안)더운 구름이 온종일 쇠한 얼굴 비추어

八面虛堂坐不冠(팔면허당좌불관)팔면이 텅 빈 집에 관도 안 쓰고 앉았노니

桃葉冷淘淸入骨(도엽냉도청입골)도엽 냉도는 시원함이 뼈에 사무치고요"

여기서 '도엽냉도(桃葉冷淘)'는 여름철 시원하게 먹는 오늘날 냉면과 같은 형태의 음식이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중국의 시성(詩聖) 두보(杜甫 712~770년)의'괴엽냉도(槐葉冷淘)'라는 시가 있는데, 홰나무 잎의 즙을 내어서 이것을 국수와 섞어 냉면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속칭 과수면(過水麵)이라고 하며, 냉도면(冷淘麵) 혹은 괴도(槐淘)라고도 한다. 『두소릉시집(杜少陵詩集)』 제19권

복숭아나무 잎과 회화나무 잎의 차이만 있을 뿐 목은 이색이 여름에 먹던 '도엽냉도(桃葉冷淘)'도 두보(杜甫)의 괴엽냉도(槐葉冷淘)처럼 면이었음이 분명하다.

이후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무김치 냉면에다 송채무침 곁들여 먹었고, 냉면만 먹은 게 아니라 온면도 먹었다고 한다.

2
대전 '숯골원냉면'의 냉면, 메밀 함량이 높아 고들고들하면서도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돋보인다.쫄깃한 면을 계속 씹다보면 구수한 향이 입안에서 은은하게 퍼진다.
KakaoTalk_20230813_123453196
구한말 대표적인 시인이며 역사가였던 매천(梅泉) 황현(黃玹1855-1910)은 『매천집(梅泉集)』에 "穉孫報道山廚午(치손보도산주오)어린 손자가 산촌 부엌의 점심때를 알리니/ 冷?千絲石竇泉(냉면천사석두천)냉면 천 가닥을 돌 틈 샘물에 말았구나"라고 적었다. 더운 여름철 돌 틈에서 흘러나오는 시원한 샘물에 말은 냉면을 읊었다.

개성 출신이었던 대한제국 시기 문신·학자·시인이었던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 1850년∼1927년)은 『소호당집(韶濩堂集)』 1권에서 "簾幕重重翠影流(렴막중중취영류)겹겹의 주렴 장막에 푸른 그림자 비치네/ 碧?麵絲壓京陌(벽완면사압경맥)푸른 주발의 면발은 도성 거리 압도하고"라는 시와 함께 "평양의 풍속에는 메밀 냉면〔蕎麥冷?〕을 잘 만든다"고 하였다.

특히 냉면은 고종이 즐겨 먹었는데, 조선 말기의 문신 이유원(李裕元, 1814~88)의 『임하필기』(林下筆記, 1871), 「춘명일사」(春明逸史)편에는 순조 임금의 냉면 이야기도 나온다.

'순조임금은 군직과 선전관들을 불러 함께 달을 감상하곤 했는데, 어느 날 밤 군직에게 명하여 문틈으로 면(麵)을 사오게 하며 이르기를 "너희들과 함께 냉면을 먹고 싶다" 하셨다. 한 사람이 스스로 돼지고기를 사가지고 왔으므로 상이 어디에 쓰려고 샀느냐고 묻자 냉면에 넣도록 하려는 것이라고 대답하였는데, 상은 아무런 대답을 안했다. 냉면을 나누어 줄 때 돼지고기를 산자만을 제쳐 두고 주지 않으며 이르기를 "그는 따로 먹을 물건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일은 측근 시신(侍臣)이 자못 본보기로 삼을 만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3
대전 '숯골원냉면'의 냉면은 고명으로 올린 계란 지단과 냉면무, 오이채, 닭살 등이 면과 호환되어 식감이 좋다.
이렇듯 대한제국 시기 서울을 비롯한 경남 진주 일원 등에 냉면이 있었으며, 냉면 매니아로 백범 김구 선생은 백범일지에 냉면을 언급할 정도이고, 도산 안창호 선생은 1915년 미국 시카고에서 냉면을 먹었다는 내용의 연설을 할 정도였다.

구한말 서울 등지에서는 여름철에 즐겨 먹었지만 유독 평양에서는 겨울철에 냉면을 즐겨 먹었다.

1911(메이지 44년)년 이미 '평양조선인면옥조합(平壤朝鮮人麵屋組合)'이 생길 정도로 냉면은 평양의 대중적인 음식이었다.

1936년 판 『평양상공명록(平壤商工名錄)』에 등재된 평양냉면집들은 16곳이다. 1940년에 『평양상공명록(平壤商工名錄)』에 기재된 '평양조선인면옥조합(平壤朝鮮人麵屋組合)'의 회원이 60명으로 나온다. 1937년 8월 1일자 『동아일보』에는 "평양부의 80여 냉면업자는 일제히 냉장고를 사용하도록 엄단할 터이다"라고 나온다.

1939년 [평양상업조사]에 평양 전체 음식점 578개 가운데, 냉면집이 127개로 나온다.

이렇듯 평양은 냉면 천지 도시라 할 만큼 냉면으로 유명한 도시였다.

당시에 '쨍'한 동치미 국물을 주로 국물로 사용했지만 소고기·돼지고기·닭고기·꿩고기를 이용한 고기 육수에 메밀 면을 말아낸 냉면도 동시에 존재했다.

그런데,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으로 인해 평양에 살던 피난민들이 남쪽으로 내려오게 되고 그 피난민 중 평양에서 1대 박내섭 씨에 이어 2대는 박재록 씨가 운영하던 모란봉 냉면의 아들인 박근성 씨가 1.4 후퇴 때 혈혈단신으로 남하하여 1954년 처가인 대전에 자리를 잡아 당시 메밀이 많이 나던 숯골(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및 그 주변) 장터에서 '숯골원냉면'이라는 상호로 냉면집을 개업하여 평양 모란봉냉면의 기술과 맛을 복원하는데 주력하였다.

숯골 평양냉면은, 흔히 접하지 못한 현 주민보다는 같이 월남한 이주민의 기호에 맞았다. 그도 그럴 것이 냉면의 주재료는 메밀이다.

대부분 피난민들이 평양냉면집을 한다고 하지만 육수나 면이 현대적인 입맛에 맞춰 변형된 경우가 많은데, 이 집은 고집스럽게 꿩육수와 닭육수에 동치미 국물을 섞는다.

4
대전 '숯골원냉면 본점' 건물 모습
5
대전 '숯골원냉면 본점' 내부 모습
고명으로 올라 간 계란 지단과 냉면 무, 오이채, 닭살이 면과 호환되어 식감이 좋고 메밀 함량이 높아 고들고들하면서도 쫄깃한 면을 계속 씹다 보니 구수한 향이 입안에서 은은하게 퍼진다.

물냉면을 먹고 비빔냉면도 맛을 봐야 할 것 같아 시켰다.

비빔장을 직접 만든 것 같다. 약간 거친 듯하지만, 매콤하면서 감미가 입안에서 돌고 필자가 너무 예민한 반응일지는 모르지만 약간 미세한 알갱이가 씹히는 듯하다.

모든 음식의 맛은 개개인 주관적이기 때문에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냉면은 더욱 그렇다.

김영복/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식생활문화전문가 프로필샷
김영복
[중도일보] 기획 10면_202308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2.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3. 자립준비청년 자기계발비 300만원 후원
  4. 천안시, '담헌달빛관' 개관
  5.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2025년 활동지원사 힐링나들이'
  1. 장애인 보조견 환영합니다
  2. “웃으며 배우는 가족 소통법”
  3. 대전시사회복지협의회-유한킴벌리 대전공장 사랑의 김장 나눔
  4. 취약계층 지역주민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행사
  5. 위기상황 미혼한부모 가정 위한 통합지원금 기탁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민자 4000억 유치 `K-모빌리티 허브` 만든다

충남도, 민자 4000억 유치 'K-모빌리티 허브' 만든다

충남도와 당진시가 국내 기업과 손잡고 당진항 일원에 대한민국 자동차 수출을 이끌어갈 최첨단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한다. 조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민선8기 도가 중점 추진 중인 '베이밸리 건설'과 '당진항 수출 전진기지 육성' 전략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17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오성환 당진시장, 이정환 SK 렌터카 대표이사 등과 '케이(K)-모빌리티 오토 허브 일반물류단지 조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전국 처음으로 자동차산업과 항만물류를 결합시킨 K-모빌리티 오토 허브 일반물류단지는 당진..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올해 대전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입지와 분양가 등 경쟁력을 갖춘 인기 단지가 선별되면서 '옥석 가리기'가 한층 심화되는 분위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에 나선 '도룡자이 라피크'가 침체된 분양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GS건설이 공급한 도룡자이 라피크는 1~2순위 청약에서 214세대 모집에 3636건이 접수되며 평균 16.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84㎡B형은 59.1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대부분 1..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