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2년이면 생산가능 인구 절반도 안 된다"

  • 경제/과학
  • 대전정부청사

"2072년이면 생산가능 인구 절반도 안 된다"

14일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발표… 만 15~64세 45.8%까지 감소 전망
고령 인구는 47.7%까지 증가해 생산인구보다 부양인구 많아진다

  • 승인 2023-12-14 15:59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인구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자료=통계청 제공)
2072년이면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만15세~64세)가 전체 인구의 절반도 안 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현재 인구 감소 흐름이 이어지면 65세 이상 노령인구가 절반에 달하며 부양 인구는 생산연령인구를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다.

통계청은 1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장래인구추계(2022~2072년)'를 발표했다. 자료는 인구총조사 결과와 최근까지의 인구변동요인(출생·사망·국제이동) 추이를 반영해 향후 50년(2022~2072년)간의 장래인구를 전망한 결과다.

결과에 따르면, 2072년에는 우리나라 인구 5000만명 선이 무너진다. 통계청은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총인구는 5167만 명에서 2024년 5175만 명 수준으로 증가한 후 감소해 2030년 5131만 명, 2072년에는 3622만 명에 이를 것으로 봤다. 이는 1977년 우리나라 인구 수준이다.



인구성장률은 2025년 이후 10년간 연평균 -0.16% 수준으로 감소하고, 감소 속도가 빨라져 2072년에는 -1.31% 수준으로 내다봤다.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
통계청 장래 인구 추계 (자료=통계청)
고령 인구가 생산가능인구 수를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연령계층별 인구 비중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총인구의 71.1%(3674만 명)다. 하지만 2030년에는 3417만 명, 2072에는 1658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총인구의 45.8% 수준이다.

반면 고령 인구는 2022년 898만 명(총인구의 17.4%)에서 2030년 1298만 명, 2072년 1727만 명(47.7%)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출산이 계속되면 0세~14세 유소년 인구는 2040년부터 총인구의 10%도 안될 것으로 봤다. 유소년 인구는 2022년 595만 명(11.5%)에서 2040년 388만 명(7.7%), 2072년 238만 명(6.6%)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총부양비도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는 2022년 40.6명(노년 24.4명)에서 계속 높아져 2072년 118.5명(노년 104.2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봤다. 고령화도 가속화돼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 인구는 2022년 151명에서, 2072년 726.8명으로 4.8배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현재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71.1%로 OECD 국가(2022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나 2072년(45.8%)에는 가장 낮아질 전망이다. 총부양비는 2022년 40.6명으로 OECD 국가(2022년) 중 가장 낮은 수준이나, 2072년(118.5명)에는 가장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