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칼럼] 백호 윤휴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백호 윤휴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승인 2024-06-19 17:04
  • 신문게재 2024-06-20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2024042401001890500074491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지난 5월 20일 남원윤씨 묘역의 백호 윤휴 묘소 (대전광역시 중구 사정동 201-4) 앞에서는 약 50여 명의 산성동 마을주민들과 관계 인사들이 모여 그를 기리는 추모제를 가졌다. 이곳 묘역에서 삼 년째 거행되는 추모제는 남원윤씨 삼휴당파 종친회의 후원과 산성동 마을주민들의 십시일반으로 이 행사가 진행된다. 백호는 조선 후기 산림학자이자 실천적인 경세가며 개혁적인 사상가였다. 부친인 윤효전의 부임지인 경주에서 태어났지만, 청년 시절 선영이 있는 공주 유천 황간동(지금의 대전광역시 서구 변동 수정재 인근)에 이주하여 7년간 모친을 모시고 살며, 호서 사림과도 활발히 교류하며 학문에 정진했다.

윤휴의 본관은 남원(南原)이며 호는 백호·하헌이다. 두 돌 못 미쳐 아버지를 여의고 서울로 돌아와 편모슬하에서 자랐다. 이괄의 난 때에는 여주의 옛집으로, 두 차례의 호란 때에는 보은 삼산의 외가로 가서 피란하였다. 난이 끝난 뒤에는 선영이 있는 공주 유천으로 들어가 학문에 전념하기도 했다. 윤휴의 학문은 19세 때에 10년 연장자로 당대의 석학이던 송시열과 속리산 복천사에서 만나, 3일간의 토론 끝에 송시열이 "30년간의 나의 독서가 참으로 가소롭다"고 자탄할 정도로 높은 경지에 이르렀다. 권준 등 남인계 인사들과 교분이 특별했고, 서인측 인사들과도 43세 무렵의 기해예송 이전까지는 친교가 잦았다. 유천 시절부터 송시열·송준길·이유태·유계·윤문거·윤선거 등 서인 계열의 명유들과 교분을 나누었으며, 민정중·민유중 형제는 특히 여주를 자주 찾았다고 한다. 당시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을 겪으며 시국상황이 어수선해지며 당쟁의 혼돈은 극에 달하였다. 백호는 64세에 경신환국으로 사사됐다. 조선 후기 역사에서는 사라진 인물이 되었으나 여러 차례 추탈과 복직이 반복된 이후1907년 에 복권됐다.

"나라에서 유학자를 쓰기 싫으면 안 쓰면 그만이지 죽일 것은 무엇이 있는가" 1680년(숙종 6년) 5월20일, 귀양 가던 중 서대문 밖 민가에서 사약을 받기 직전, 백호 윤휴가 했다는 마지막 말이다. 그의 죄는 중화 사대주의 사상에 맞서 독보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하고, 부국강병을 내세운 점이었다. 윤휴의 이름을 말하는 건 최근까지도 꺼려져 왔다. 윤휴를 입에 올린다는 건 윤휴와 같은 생각을 한다는 의미였고 불온한 것으로 여겨졌다. 윤휴는 주자의 설을 비판하진 않았다. 그런데 장과 절의 구분을 달리했다는 이유만으로 서인들로부터 사문난적으로 몰렸다. 주자를 절대적 이데올로기로 삼아 신분 질서를 강화하고 사대부의 특권을 굳히려 한서인에게 윤휴는 마땅히 제거 대상이었다. 윤휴는 청나라를 치는 북벌이 실제 가능하다고 보고 57세가 돼 조정에 나갔다. 평민들을 위한 무과인 만인과를 실시하고 전차를 제작하는 등실제적인 북벌을 추진하려 했다. 양반사대부들도 군역을 함께 감당하는 호포법을 주장하고, 남녀 구별을 넘어 여성에게도 학문을 가르쳐야 한다 는등 윤휴는 시대를 앞서간 개혁가였다.

"나와 다른 너를 인정하지 않았던 시대, 나와 다른 너는 죽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시대, 그리고 실제 그렇게 죽여왔던 시대, 그런 증오의 시대의 유산은 이제 청산할 때가 됐다" 대전에서 열리는 두 번째 추모제부터는 당대에 정치적으로 맞섰던 우암을 모시는 남간사유회의 도유사가 직접 추모제에 참석하여 인사말을 하고 묘소에 참배하며 그간의 불화와 반목의 역사를 청산하는 계기가 되는 행사로 이어지고 있다. 백호 윤휴의 선대는 대전을 항시 마음의 고향으로 생각해 왔다. 그리하여 1970년 5월 윤휴는 꿈에 그리던 고향 땅인 이곳 대전 보문산 선영에 다시 잠들게 된 것이다. 윤휴는 조선시대 양반의 특권을 내려놓고 백성과 아픔을 함께한 시대를 앞서간 진정한 개혁가이며 선구자였다. 산성동 마을 백호 묘역의 이 추모제를 통하여 요즘시대정신과 같은 '개혁과 평등 정신'을 사람들에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