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 김윤신 예술성 조명, '아르헨티나에서 온 편지'

  • 정치/행정
  • 대전

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 김윤신 예술성 조명, '아르헨티나에서 온 편지'

이응노미술관 특별기획전 6월 25일부터 9월 22일까지
1964년 파리서 이응노 첫 만남… 서로에게 큰 영감을
김윤신 국내 미공개작 공개… 작가 예술성에 집중한다

  • 승인 2024-06-20 17:15
  • 신문게재 2024-06-21 7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파리 유학시절 이응노, 김윤신, 박인경 (왼쪽부터)
파리 유학시절 이응노, 김윤신, 박인경 (왼쪽부터). (사진= 이응노미술관)
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이자 1960년대 파리 유학시절 이응노에게 조각을 가르쳐주며 교류를 쌓은 김윤신의 특별기획전이 대전에서 열린다. 이응노미술관은 6월 25일부터 9월 22일까지 '김윤신-아르헨티나에서 온 편지'를 개최한다.

▲김윤신 그는 누구인가

김윤신은 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녀는 1964년 파리국립고등미술학교 조각과 입학을 계기로 파리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이응노와 처음 만났다. 그 당시 이응노는 파리에 정착한 지 햇수로 5년째였으며, 1962년 당대 '엥포르멜' 운동을 주목한 폴 파케티 화랑과 전속계약이 이뤄진 후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유럽 전역으로 활동 반경을 넓히며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었다. 1964년 두 예술가의 만남은 서로에게 영감이 되었다.



이응노는 김윤신에게 "내가 조각을 하고 싶은데, 네가 와서 도와주면 좋겠다"라며, 김윤신에게 나뭇조각을 깎고 다듬는 기법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 후 김윤신은 이응노의 집을 일주일에 한 번씩 방문하며 약 4년 동안 교류를 이어갔다.

이응노와 김윤신의 짧은 만남은 이응노가 1967년 동베를린사건에 연루되며 막을 내리게 된다. 하지만 이응노와 김윤신의 예술이 맞닿은 지점은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조각의 외형적인 유사성 너머에 있다. 김윤신은 자신의 예술세계의 근간을 "합이합일 분이분일(合二合一 分二分一)"이라는 동양철학으로 설명한다. "서로 다른 둘이 만나(합이) 상호작용을 통해 하나가 되며(합일), 그 합이 다시 둘로 나뉘어(분이) 각각 또 다른 하나가 된다(분일)는 것인데, 작가는 조각의 과정 또한 나무에 자신의 정신을 더하고(합), 공간을 나누어 가며(분), 온전한 하나(예술작품)가 되는 과정으로 본다."

자연과 내가 하나로 융합되고, 예술가가 자연을 완전히 수용하는 과정에서 하나가 돼 다시 독자적인 예술을 구축한다는 점에서 김윤신의 예술은 이응노 예술의 근원을 이루는 '자연적 추상성'과도 맞닿아 있다.

2024년은 1964년 김윤신과 이응노가 파리에서 만난 지 60년이 되는 해이자 1984년 김윤신이 아르헨티나에 정착해 오롯이 자신만의 창작에 매진한 지 40년이 되는 해이다.

ㄹ
김윤신, 내 영혼의 노래 2009-No.236, 2009, 캔버스에 유채, 180×150cm. (사진= 이응노미술관)
▲미공개 작품 통해 재조명 되는 예술적 특징

이번 전시는 이처럼 김윤신이 자연적 추상성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구축한 시각언어를 생애 연대기별로 주목하고자 한다.

탈식민주의 이론가인 호미 바바(Homi K. Bhabha)는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을 이루는 '문화의 위치'란 자아 대 타자, 제1세계 대 제3세계 같은 이분법 틀을 넘어 양가성을 띠는 '제3의 공간'에 존재한다고 말한 바 있다. 서구 예술의 중심지였던 파리에서 동양철학을 기반으로 한 두 작가의 교류, 그리고 김윤신이 아르헨티나에서 이룩한 창작의 세계는 무수한 편견과 틀 너머에 존재하는 한국 문화의 양가성과 역동적 위치를 반영하고 있다.

이응노미술관은 이들 두 예술가의 조우와 김윤신 작가가 먼 타향에서 이룩한 창조적 열정과 그 작품 세계에 주목해 회화, 조각, 아카이브 총 50여 점을 전시한다.

김윤신, 성좌의 신화, 1972, 종이에 잉크, 76×76cm
김윤신, 성좌의 신화, 1972, 종이에 잉크, 76×76cm. (사진= 이응노미술관)
전시에 소개된 50여 점의 출품작들은 대다수 국내 미공개 작이라는 것과 김윤신의 파리 유학시기부터 현재 까지 작품 세계 전체를 전체적으로 조망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1964년 파리 유학과 1984년 아르헨티나 이주를 기점으로 전후 회화와 조각을 함께 전시해 각 전시실을 둘러보며 김윤신이 한국적 뿌리와 유럽에서 받은 자극이 어떻게 충돌하고 융합해 독자적인 작품으로 탄생하였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다음의 세 가지 관점에서 이응노의 예술을 조망한다.

▲작품 활동 초기이자 이응노와의 조각을 통해 교류한 1960년대 파리 유학시절 아카이브와 작품을 통해 김윤신의 초창기 예술에 주목해 김윤신의 실험적 예술성이 계승되는 과정에 주목한다. ▲지금까지 국내에 공개되지 못했던 아르헨티나 이주 시기 김윤신 예술의 특징을 미공개 작품을 통해 재조명한다. ▲ 2010년대 이후 조각과 회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김윤신의 예술을 회화와 조각을 함께 구성한 전시를 통해 조망한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3년간 대전서 송치된 뇌물죄 공무원만 8명…계약 비리는 관행?
  2. 천안검찰, 수의계약 허점 이용 100억원 편취한 혐의 등 일당 8명 기소
  3. 농촌공간 정비사업 '금산군' 선정
  4. 도민 화합의 축제 제 77회 '충남도민체육대회' 개막
  5. 김태흠 지사, 민선8기 4년차 시군 방문 돌입
  1. 코스피 3년 5개월 만에 2900돌파
  2. 국간사 생도와 함께 하는 현충시설 환경정비 봉사
  3. 세종시, '영화·드라마 촬영지' 잠재력 확인...남겨진 숙제는
  4. 세종시 '중앙공원·장남평야'서 생물 341종 발견...다양성 확인
  5. [현장] "제방 복구 안 끝났는데…" 이른 장마 소식에 정뱅이마을 주민 한숨

헤드라인 뉴스


이 대통령·경제단체장·재벌총수들, 경제 위기 극복 ‘한목소리’

이 대통령·경제단체장·재벌총수들, 경제 위기 극복 ‘한목소리’

이재명 대통령과 경제단체장, 재벌총수들이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민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며 한목소리를 냈다.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6 경제단체와 기업인 간담회’에서다. 간담회에는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해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이 참석했다. 안덕근 산자부 장관과 이형일 기재부..

내란특검 조은석·김건희특검 민중기·채상병특검 이명현 지명
내란특검 조은석·김건희특검 민중기·채상병특검 이명현 지명

이재명 대통령이 내란 특별검사로 조은석 전 감사원장 권한대행을, 김건희 특검은 민중기 전 서울중앙지법원장, 채상병 특검은 이명현 전 국방부 검찰단 고등검찰부장을 지명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특검을 추천한 지 8시간이 안 된 12일 오후 11시 9분 전후에 지명을 완료하면서 3대 특검팀 출범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조은석 특검과 민중기 특검은 민주당이, 이명현 특검은 혁신당이 추천했다. 전남 장성 출생으로 광덕고와 고려대를 졸업한 조은석(65년생·사법연수원 19기) 특검은 박근혜 정부에서 대검찰청 형사부장과 청주지검장, 문..

코스닥 상승 견인하는 대전 상장기업…시총 63조 원 돌파
코스닥 상승 견인하는 대전 상장기업…시총 63조 원 돌파

국내 주식시장이 최근 상승세를 타면서 대전의 상장기업 시가총액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최근 3년간 지역의 상장기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시총 규모도 63조 원을 돌파했다. 이는 충청권 상장기업 전체 시총의 절반에 육박한다. 대전에 본사를 둔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신약개발 기업 인투셀이 지난달 23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면서 지역 상장기업 수는 66개로 늘었다. 2015년 설립한 인투셀은 리가켐바이오 공동 창업자 박태교 대표가 설립한 회사로, 창업 10년 만에 코스닥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인투셀은 상장 첫날 공모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선생님 저 충치 없죠?’ ‘선생님 저 충치 없죠?’

  • ‘고향에 선물 보내요’ ‘고향에 선물 보내요’

  • 대전에서 잡(JOB)는 내일 대전에서 잡(JOB)는 내일

  • 국간사 생도와 함께 하는 현충시설 환경정비 봉사 국간사 생도와 함께 하는 현충시설 환경정비 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