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약세와 소비 회복 지연에 대한 기본 전망은 이전에도 있었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미미하게 오르던 지역 소비심리에 얼음물을 끼얹었다. 물가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며 상승 압박을 받는 중이다. 전시 상황과 맞먹는 환율 불안에 지역 제조업들은 긴급 재고 점검에 나서기도 했다. 금융권이 돈줄을 죄면 건설업계부터 직격탄을 맞을 것이다. 실물경제는 주력사업과 재무 등에 영향을 미친다. 지자체는 지역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면서 가능한 조치를 다해야 한다.
지역 반도체 생태계 지원 동력도 힘을 잃고 있다. 여력이 부족하다면 반도체 산업 지원 관련법 통과라도 국회가 우선 서둘러야 한다. 방한 관광객이 급감하고 있고 관광, 식품·외식업계 등의 연말 특수는 타격이 불가피하다. 지역 경제성장 전망은 암울하다. 'GDP 킬러'(미국 경제지 포브스)로 비유된 대통령 1인 때문에 경제 전반에 하방 리스크가 커졌다. 이럴 때일수록 중소기업이 다수인 지역 기업들의 경영 위축에 눈을 떼지 않고 챙겨야 할 것이다. 설령 정부 기능이 사실상 마비 상황을 맞더라도 기업 살리기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메가톤급 악재에 크게 달라진 사업 환경을 인식하기 바란다.
지역 경제는 잠재성장률을 하회할 정도의 성장세 둔화가 예견된다. 기업 불확실성에 내년 사업계획을 조정할 움직임도 일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해외 사업 등 기업 입지에 미칠 악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2016년 국정농단 사태로 겪었던 대내외 경영 위축을 우선 복기해볼 차례다. 그때보다 지역 경제 상황이 나쁘다. 신속한 탄핵안 처리는 경영 위축에 직면한 지역 경제에도 절실한 국가적인 숙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