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한은 금통위는 지난해 10월부터 본격적으로 통화 완화 및 금리 인하 정책을 펼쳐왔다. 올해 상반기 열린 네 차례 회의에서도 경기를 부양하겠단 의지를 밝히며 동결과 인하를 반복, 완화 기조를 유지했다. 건설 산업 위축을 중심으로 확산한 내수 부진과 0.8%에 불과한 낮은 경제성장률이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간 주된 원인이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수도권 주택가격 오름세와 함께 가계부채의 증가세가 가장 크게 고려됐다. 최근 수개월 간 급격히 상승한 부동산 가격의 추이를 고려했을 때 올해 5월에 이어 연속으로 금리를 낮춘다면 치솟는 주택가격에 불이 붙을 수 있단 판단에서다.
금통위는 이날 의결문에서 "수도권 주택가격 오름세와 가계부채 증가세가 크게 확대됐고 최근 강화된 가계부채 대책 영향도 살펴볼 필요가 있어 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는 속도가 지난해 8월보다 빠르다"라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수도권 지역에서 번져나가면 젊은층 절망감부터 시작해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 달이면 그 문제가 해결될지 확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과도한 인하 기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택시장의 과열 심리를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최근 정부가 내놓은 가계부채 대책의 효과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가계부채에 대해선 아직 충분히 대응 가능한 수준이란 견해를 밝혔다. 그는 "가계부채 규모는 이전 계약이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쳐 예상할 수 있고 선제 대응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향후 기준금리 인하를 두고서는 가능성을 열어 뒀다. 이 총재는 "(이날)저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현재 2.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 열어놔야 한다는 의견이었다"라며 "네 분은 추가 인하 가능성 열어놓고 향후 미국과의 관세 협상 진전, 정부의 부동산 대출 관리 정책 효과 등을 살펴보면서 금리를 결정할 필요 있다는 의견이다"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으로 미국(연 4.25∼4.50%)과의 금리 차는 최대 2.0%포인트로 유지됐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