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 부럼 깨기도 부담되네"... 붉은팥 1년 만에 80% 넘게 치솟았다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정월대보름 부럼 깨기도 부담되네"... 붉은팥 1년 만에 80% 넘게 치솟았다

대전 붉은팥 1만 5967원으로 1년 전보다 82.29% 상승
땅콩과 호두 각각 18.99%, 18.96% 인상되며 부담 커져

  • 승인 2025-02-10 17:07
  • 신문게재 2025-02-11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대보름
전통적으로 액운을 물리치는 정월대보름이 다가왔지만 국산 오곡과 부럼 등 가격이 상승하면서 지역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일 년 전보다 가격이 2배 가까이 오른 탓에 부럼 깨기에도 지갑 사정을 고려해야 한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정월 대보름(12일)을 앞두고 오곡밥 재료인 국산 잡곡과 찹쌀 등의 가격이 1년 만에 급등한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붉은팥(500g)은 7일 기준 대전 평균 소매가가 1만 5967원으로, 1년 전(8759원)보다 82.29%나 올랐다. 평년 가격은 2배 넘게 상승했다. 2020년부터 2024년 가격 중 최고·최소 가격을 제외한 3년 평균인 평년 가격인 7643원보다는 108.91%나 치솟았다. 붉은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가격이 크게 올랐는데, 폭염에 따른 생산량이 급감하며 동지를 기점으로 값이 더 뛰었다. 이어 찹쌀(1kg)도 7일 기준 대전의 평균 소매가는 4263원으로 1년 전(3831원)보다 11.28% 인상됐다.

부럼 재료인 땅콩도 3847원으로, 1년 전(3233원)보다 18.99% 올랐고, 평년 가격(2740원)보다는 40.4% 상승했다. 또 호두(100g·수입)는 1983원으로, 1년 전(1667원)보다 18.96% 올랐고, 평년 가격(1629원)보다는 21.73% 인상됐다.

대다수 품목이 상승하자 오곡과 부럼 등을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에서 구매 시 전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정월 대보름에 먹는 주요 10개 품목의 구매 비용이 전통시장 13만 9700원, 대형마트 18만 5220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조사 대상은 오곡밥 재료 5개(찹쌀·수수·차조·붉은팥·검정콩)와 부럼 재료 5개(잣·밤·호두·은행·땅콩)로 전통시장 구매 가격이 대형마트보다 32.6% 저렴했다. 물가정보는 7일 국산 제품으로만 가격을 조사했다. 전통시장 가격을 보면 붉은팥 한 되(800g) 가격은 1만 6000원으로 1년 전보다 45.5% 상승했다. 찹쌀 한 되(800g)가 3200원으로 23.1%, 검정콩 한 되(720g)가 7500원으로 7.1% 각각 올랐다. 수수와 차조 가격은 그대로였다. 전통시장에서 부럼 구매 시 은행 한 되(600g)는 7000원, 땅콩 한 되(400g)는 1만원으로 각각 16.7%와 11.1% 올랐다. 잣과 밤, 호두 가격은 작년과 같았다. 대형마트 가격을 보면 오곡 중 수수를 제외한 4개 품목이 모두 올랐다. 붉은팥 한 되는 2만 1920원으로 45.0% 상승했다. 찹쌀 한 되는 5040원으로 28.6%, 검정콩 한 되는 1만 2080원으로 5.2%, 차조 1되(800g)는 1만 3420원으로 1.8% 각각 올랐다.



대형마트의 부럼 가격은 밤 한 되(800g)가 9960원으로 작년보다 0.3% 하락했으나 나머지 4개 품목 가격은 모두 올랐다. 은행 한 되는 9840원으로 15.2%, 땅콩 한 되는 1만 3560원으로 13.4%, 호두 한 되(400g)는 1만 4520원으로 3.6%, 잣 한 되(600g)는 7만 4400원으로 2.2% 각각 올랐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2.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5.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4.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을 포함해 전국 도시철도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정책에 따라 법정 무임승차를 이어오고 있지만, 정부는 수십 년간 요청됐던 국비 보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재정 문제는 지자체와 운영기관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8일 대전을 포함해 전국 6개 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운영기관 무임승차 손실액은 7228억 원에 달했다. 대전은 지난해 125억 원으로 4년 전(76억 원) 대비 약 64.4%나 늘어난 셈이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도시철..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가 전년보다 3만1504명 늘어나며 5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응시자 10명 중 6명은 사회탐구(사탐) 영역을 선택하면서 '사탐런'이 이번 수능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발표한 원서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417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52만 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었다. 이는 2007년 '황금돼지 해' 출생자가 올해 고3에 진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은 고3 재학생이 37만 1897명(67.1%), 졸업생 15만 9922명..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