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11강 목중무화(木中無花)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11강 목중무화(木中無花)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5-02-11 19:07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211강 木中無花(목중무화) : 나무속엔 꽃이 들어있지 않다.(꽃은 나무 속에 있는 게 아니라 때가 되면 저절로 생긴다.)

글 자 : 木(나무 목) 中(가운데 중/ ~속) 無(없을 무) 花(꽃 화)



출 처 : 大東奇聞(대동기문), 古今笑叢(고금소총),

비 유 : 모든 일은 억지로 이루려고 해서는 안 되고 순리적으로 이루어 나가야 함



대한민국 정국혼란(政局混亂)의 터널은 끝이 보이지 않는다. 모든 정치인들이 권력을 쟁취하고자 달려드는 꼴이 마치 굶주린 하이에나의 모습과 흡사(恰似)하다.

일반 국민들이 볼 때 국가의 정치적 정상화는 요원(遙遠)한 듯하다. 사생결단의 기로(岐路)에 서 있는 악인(惡人)들의 무자비한 혈투를 연상케 한다.

이제는 국회의 라운드를 넘어 법정에서 시비(是非)를 가릴 판이다. 그러나 국회에서도 그랬듯이 법원이 올바른 판결을 내리리라고 믿는 국민들은 거의 없다. 이젠 법원마저 마냥 의혹과 불신(不信)만 증폭(增幅)시킬 뿐이다.

누가 권력을 소유 하려고 하는지는 몰라도 국민들은 이제 정의(正義)앞에 당당해야하고 또 그 생각을 정당하게 실행해야 한다. 당당한 의인(義人)의 고사를 보자.

치악산(雉岳山)의 뒤편 계곡에 도둑들의 소굴이 있었다. 그들은 걸핏하면 상원사(上元寺)에 찾아와 행패를 부렸다.

"뭐 스님이면 다야? 너희들은 편히 앉아서 신도들이 갖다 바치는 돈으로 먹고 살고 있으니 무위도식(無爲徒食)하기는 우리와 다를 바 없잖아. 어차피 너희들도 땀 흘려 번 것이 아닌데 조금 나눠 먹자는 것이 뭐가 나쁘냐?"

도둑들이 윽박지르면 스님들은 저항 한 번 못하고 그들이 요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내주어야 했다. 그런 일이 계속되자 몇몇 스님들은 관가(官家)에 알리자고 했으나 주지(住持)스님은 한사코 허락하지 않았다.

"저들이 마혹(迷惑)하여 그런 것이니 원한(怨恨)을 사서는 안 된다."

그러던 어느 날, 깊은 밤 주지(住持)스님의 방에 도적이 칼을 들고 들어왔다. 주지 스님은 손님을 맞이하듯 자리에서 일어나 태연히 마주 앉았다.

주지 스님이 도둑에게 "그 칼을 버리시오"라고 하자 도둑이 "헛소리 하지 말라. 이 칼이야말로 내 수호신이다."

그러자 다시 주지 스님이 "칼을 든 자는 칼로 죽게 되는 법이오."

그러나 도적들은 코웃음을 치면서 쏘아보았다. "너희들은 불법(佛法)이니 무어니 하면서 알아들을 수 없는 해괴한 말들을 주절거리는데 우리 같은 도적들은 주린 창자를 채우는 게 급하단 말이야!"

다시 주지 스님이 "불법(佛法)을 올바로 깨달으면 모든 근심에서 벗어날 수가 있소."

그러자 도적들은 "도대체 불법(佛法)이라는 게 어디 있느냐?"

다시 주지 스님이 "당신들의 가슴 속에 있소 다만 그대가 스스로 보지 못할 뿐이오"라고 하자 도둑이 "그럼 네 가슴에도 있겠구나?" 하자 주지 스님은 거침없이 "그렇소"라고 말했다.

"거 잘됐다. 내가 보고 싶으니 어디 네 가슴 좀 열어보자" 라고 하면서 비웃음을 흘리면서 주지스님의 가슴에 칼을 겨누었다. 그러자 주지스님이 껄껄 웃으며 말하였다.

"참으로 어리석은 자로다. 꽃이 아름답게 피어 있다고 그 나무를 쪼개면 그 속에 꽃이 들어 있더이까? 꽃은 나무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때가 되면 저절로 생기는 것. 그 칼로 불법(佛法)을 범하지 마시오."

그 말에 한참 생각하던 도둑은 그제야 자기가 한 짓을 깨우친 듯 칼을 내던지고 주지 스님 앞에 넙죽 엎드렸다.

대자연과 인간의 삶에는 순리(順理)라는 것이 있다. 곧 무리하지 않고 순서대로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세상의 이치를 말한다. 그러나 세상 모든 자연은 순리대로 살아가는데 유독 인간만이 순리에 역행(逆行)하고 비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다. 더군다나 순리에 역행하면서도 그것이 남보다 뛰어난 기량(技倆)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음의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특히 권력과 가까이 하고자 하는 인간들로 주위의 충고나 간언을 깨닫지 못하고 본인의 비 순리적 행동을 오히려 자랑으로 여기는 몰지각한 사람들이다.

이렇게 가다가 대한민국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이 현실이 될 듯하다.

이제 정상적인 국민들조차도 비정상오락과 가까이 하고 싶어 하고, 놀고 즐기는 삶을 지향(志向)하는 패턴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 듯하다. 과거 땀 흘려 건설에 열중하던 대한민국 국민성은 다 어디로 갔는지….

채근담(菜根譚)에 待人春風 持己秋霜(대인춘풍 지기추상)이란 교훈이 있다

곧 남을 대하기를 봄바람(따뜻함)같이 하고, 자신을 대할 때는 가을서리 같이 엄하게 하라

이제 대한민국은 의인(義人)을 지키고, 악인(惡人)들의 세상을 막는 것이 국민들의 올바른 의무라고 생각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장상현 교수님-수정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