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말의 무게와 토사구팽(兎死狗烹)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말의 무게와 토사구팽(兎死狗烹)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5-03-1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본다'는 말이 있다. 우리의 인식 과정에 심각한 오류가 있다는 의미다. 주관적 가치 기준에 의해 세상을 평가한다. 그것이 모여 보편화되면 믿음이 되고, 본질 파악이 아예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한 심각한 폐해가 현재 우리사회에 충만하게 드러나고 있다.

본질에 이르러야 하는데, 어느 것이 진실이고 본질인지 분간이 어려운 지경이다. 거기에 멈추면 그나마 다행이다. 대화나 이해로 간극을 해소하려는 노력은 커녕, 극단적으로 더 강고하게 부추기는 부류가 있다. 거짓과 선전선동이다. 그런 부류가 꼭 기억해야 할 것이 있다.

거짓말쟁이의 대명사로 익히 아는 이야기다. 이솝우화에 나오는 <양치기 소년> 이다. 모르는 사람이 없을 법하다. 다시 한 번 정리해 보자. 양치기 소년이 심심풀이로 마을 사람들에게 소리친다. '늑대가 양을 물어간다', '양을 늑대가 잡아먹는다.' 두 세 번은 마을 사람이 놀라 재빨리 달려 나왔으나, 곧 속은 것을 알게 된다. 바보가 된 기분은 참담하다. 화를 내거나 투덜거리며 돌아갔다. 어느 날 정말로 늑대가 나타나, 양을 잡아먹거나 물어갔다. 소년이 진짜라며 도와 달라 호소했으나, 이제야 말로 속지 않겠다며 아무도 내다보지 않았다. 소년은 결국 모든 양떼를 잃었다.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많이 떠오른다. 하나만 더 새겨 보자. 중국의 경국지색 중 한 명인 포사(褒?)는 도통 웃지 않는 여인이었다. 유왕은 그녀를 웃기기 위해 비단을 찢거나, 봉화대에 불을 지핀다. 봉화는 전쟁과 같은 위급한 상황에 피우는 것 아니던가? 봉화가 피어오르니 병사들이 전투준비를 한다. 거짓에 속아 불편하기 이를 데 없다. 포사가 신나게 웃으니 유왕은 시도 때도 없이 불을 피웠다. 그러다 실제로 오랑캐가 쳐들어와 봉화를 올렸으나, 또 거짓이겠지 하고 아무도 출정하지 않았다. 유왕은 오랑캐에 붙잡혀 죽고 주나라는 멸망한다.



말에는 무게가 있다. 보통사람은 자신의 말에 무게를 싣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명언이나 권위 있는 사람의 말을 빌린다. 각종 비유법도 쓴다. 힘주어 말하기도 한다. 뿐인가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 '오는 말이 고와야 가는 말이 곱다.' '말이 비수가 될 수도 있다.' '말은 화살과 같다.' '말이 씨가 된다.' 물론 많이 한다고 좋은 것도 아니다. '말은 은이요, 침묵은 금이다.' 국민을 우습게보기에 앞서, 자신의 신뢰붕괴, 조직분열, 능력저하에 주목하자.

역사책을 뒤적이다 보면 "어려움은 같이 할 수 있어도 즐거움은 같이할 수 없는 사람"이란 말이 종종 등장한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나라와 월(越)나라의 전쟁에서 나온 것이다. 월나라가 승리하는데 최고 영웅이었던 책사 범려(范?)가 모든 것을 뿌리치고 절세미녀 서시(西施)와 함께 제(濟)나라로 떠나면서 월나라 왕 구천(句踐)을 평가한 말이다.

중국 한고조 유방(劉邦)의 휘하에 한신(韓信)이라는 명장이 있었다. 여러 차례 유방을 사지에서 구해냈다. 한신 휘하에 유방의 성정을 잘 아는 괴통(?通)이라는 현자가 있었다. 유방이 최후의 승자가 되면 당신부터 제거할 것이라며 몰락의 위기에서 구하지 말라 권유하였다. 한신은 의리를 내세워 유방을 구출하였다. 유방이 마지막 승자가 되자, 정말로 생명의 은인인 한신은 물론 그의 일가식솔 수백 명을 처형하였다. 여기에서 나온 말이 토사구팽이다. 김후저 <불멸의 제왕들>에 의하면, "교활한 토끼가 잡히면 좋은 사냥개는 삶아 먹히고(狡兎死良狗烹), 나는 새가 더 이상 없으면 좋은 활은 창고에서 썩게 마련(飛鳥盡良弓藏), 적국을 깨고 나면 꾀 많은 신하는 죽이는 법이니(敵國破謀臣亡), 이제 천하가 안정되었으니 나 역시 팽(烹)을 당하는구나(天下已定 我固當烹)."

진정한 지도자는 권모술수가 아닌 능력과 비전으로 조직을 이끈다. 거짓과 부허(浮虛), 헛되고 그릇된 말을 일삼는 사람의 성정은 어떤 것일까? 필부는 결단코 가까이 하지 않는다. 살기 위해서.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시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풋살장 '어린이 사망사고'...2가지 문제점 노출
  2. 특허법원, 특허침해품 외에 부수품과 용역비까지 손해액 첫 산정
  3. 금강유역환경청, 수변녹지 관리 지역주민 참여 모집
  4. 세종시 풋살장서 초등생 사망...안전관리 현주소는
  5. 단국대,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 FISU 국제 학술대회 주관대학 선정
  1. 대전 초등생 살해 사건 악성댓글 게시자 검거…경찰 엄정 수사 중
  2. 대전지방보훈청, 대전 지역 3·1 독립만세운동 참석
  3. 하나은행 충청영업그룹, '2025 상반기 신입행원 채용설명회 개최'
  4. 대전보훈병원, 대전시립 제1노인전문병원과 업무협의
  5. 대전 중구 파크골프협회, 76명의 매머드급 임원 본격 출범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 풋살장서 초등생 사망...안전관리 도마위

세종시 풋살장서 초등생 사망...안전관리 도마위

세종시 공공 및 민간 풋살장 시설의 안전관리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2025년 3월 13일 고운동 소재 근린공원 공공 풋살장에서 11세 초등학생 A 군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면서다. 세종시 및 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A 군을 포함한 초등학생 2명이 이날 오후 3시 55분경 해당 장소의 골대 그물을 잡고 흔들며 야외 활동을 하던 중 발생했다. 이 풋살장은 초등학교와 고교 사이에 위치해 있다. 조사 결과 A 군은 넘어진 골대의 철재 부위에 머리를 다쳐 의식을 잃었고, 세종충남대병원으로 심폐 소생술과 함께 이송됐으나 의식을..

귀중품 훔쳐 달아난 차털이범들 CCTV 관제센터 요원에 덜미
귀중품 훔쳐 달아난 차털이범들 CCTV 관제센터 요원에 덜미

대전에서 방범용 CCTV를 모니터링 하는 CCTV 관제센터와 지구대 경찰이 협력해 차털이 범들을 잇따라 붙잡아 눈길을 끌고 있다. 대전경찰청은 절도 혐의로 30대 남성 A씨와 B씨를 각각 현행범으로 체포해 송치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들을 검거한 데에는 지역 치안을 위해 매일 방범용 CCTV를 모니터링 중인 CCTV 통합관제센터 요원들과 상주 경찰의 공이 컸다. A씨는 지난해 12월 17일 오전 2시 9분께 대덕구 일대 골목 갓길에 주차된 차량 내부에 있는 귀중품을 훔쳐 달아났다. 이 같은 범죄행각은 치안 모니터링 중인 CCTV 관..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세… 대전·세종은 하락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세… 대전·세종은 하락

올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오른 가운데, 대전과 세종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수도권의 증가가 눈에 띄면서 아파트값 양극화가 공시가격에 그대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전국 공동주택(아파트·다세대·연립주택) 1558만 세대의 공시가격을 공개하고 4월 2일까지 소유자 의견을 받는다고 13일 밝혔다. 정부는 2023년 공시가격부터 3년 연속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현실화율)을 69.0%로 적용해 공시가를 산출했다. 이에 따라 시세 변동 폭만 공시가격에 반영됐다. 올해 전국 공동주택의 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을 즉각 파면하라’ ‘윤석열 대통령을 즉각 파면하라’

  • 세이브코리아 대전,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세이브코리아 대전,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 외투를 벗어도 좋은 날씨 외투를 벗어도 좋은 날씨

  • 머리 보호한 채 안전한 장소로 대피 머리 보호한 채 안전한 장소로 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