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의회, 20년 전보다 못한 '성거소우구역' 도시개발사업 우려 표출

  • 전국
  • 천안시

천안시의회, 20년 전보다 못한 '성거소우구역' 도시개발사업 우려 표출

- 사업면적 비슷한 신방통정구역보다 세대수 2배 많지만, 출입구 3배 적어
- 주차장 용지 비율 0.6%...20년 전과 동일
- 시 관계자 "타당한 계획이지만, 긍정적인 방안 모색하겠다"

  • 승인 2025-03-17 11:11
  • 수정 2025-03-28 09:54
  • 신문게재 2025-03-18 12면
  • 하재원 기자하재원 기자
KakaoTalk_20250317_105831487
김영한 시의원과 성거소우구역 도시개발사업 구상도.
천안시의회가 향후 부족한 주차장과 출입구, 교통체증 유발 등 성거소우구역 도시개발사업에 대한 우려를 강하게 표출했다.

17일 시에 따르면 성거소우구역 도시개발사업은 면적 97만 3725.9㎡ 면적 내 8284세대, 1만9884명의 수용인구를 계획으로 2027년 말까지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의회 건설도시위원회 소속 김영한 의원은 최근 5분 발언을 통해 "주민들의 요구사항이 반영되지 않은 도시개발사업은 혈세 낭비를 초래한다"며, 시대가 변해도 바뀌지 않는 문제점을 안타까워했다.

토지이용계획상 이 구역의 주차장 용지 비율은 0.6%에 불과해 김 의원이 말하는 20년 전 행정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실제 2004년 계획된 신방통정구역 도시개발사업도 주차장 용지 비율이 0.6%로, 해당 지역 도로 위에는 불법으로 주차된 차량들이 난무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해당 사업구역에는 서북구청 신청사가 건립될 가능성이 있어 주차장 부족현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우려가 크다.

김 의원 또 출입구 수가 부족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사업면적이 비슷한 신방통정구역는 4000여세대에 주 출입구가 11개가 있는데 반해, 8300세대에 가까운 성거소우구역은 주 출입구가 4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어 그는 차선을 확장해 교통체증을 대비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4차선에서 2차선으로 변경되는 부분과 육교가 필요하다는 부분, 망향휴게소 주변 도로는 미래를 위해 2차선이 아닌 6차선으로 개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관련 법령과 관계 기관 부서랑 협의를 하고, 교통영향평가 등을 거쳐 타당하게 사업계획이 수립됐다"며 "다만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은 향후 사업시행자랑 논의해 긍정적인 방안을 모색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영한 시의원은 "성거소우구역은 신방통정구역과 비교할 때, 세대수는 2배인데 주 출입구가 3배나 적다"며 "2번의 주민설명회에서 나온 요구사항은 전혀 반영되지 않는 것을 볼 때 천안시가 시민의 편인지, 민간 업체의 편인지 의문이 든다"고 역설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법원, 유튜브 후원금 횡령 혐의 40대 여성 선고유예
  2. 캄보디아서 구금 중 송환된 한국인 70%, 충남경찰청 수사 받는다
  3. 천안시, 직원 대상 청렴·반부패 추가교육 실시
  4.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중대재해 근절 성실·안전시공 결의식' 개최
  5. 대만 노동부 노동력발전서, 한기대 STEP 벤치마킹
  1. 천안시, '정신건강의 날 기념' 마음건강 회복의 장 마련
  2. 천안시의회 이병하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 운영' 등 2건 상임위 통과
  3. 천안동남소방서, 현장대응활동 토론회 개최
  4. 천안시 보건소, '영양플러스 유아 간식 교실' 운영
  5. 한화이글스의 가을…만원 관중으로 시작

헤드라인 뉴스


국감 중반전…충청 슈퍼위크 돌입 촉각

국감 중반전…충청 슈퍼위크 돌입 촉각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중반전에 돌입한 가운데 대전시와 세종시 등 충청권 시도를 포함한 지역 주요 피감 기관장들이 20일부터 줄줄이 증인대에 오른다. 내년 지방선거 앞 국감에서 기선 제압을 위한 여야 각축전이 금강벨트로 확전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충청권으로선 현안 이슈파이팅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는 지적이다. 여야는 지금까지 올 국감에서 조희대 대법원장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등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두고 정책이 실종된 채 정쟁을 벌이며 '막말 국감'을 자초하고 있다. 한껏 가팔라진 여야 대..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개청한지 1년 반이 지난 우주항공청이 국정감사에서 혹독한 평가를 받는 가운데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을 위해선 대전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우주항공청의 운영 체계와 인력 구성 등 조직 안정성과 정책 추진력 모두 미흡하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전문가들은 우주청의 구조적 한계로 '예산 부족'을 꼽는다. 올해 우주항공청 예산은 약 9650억원으로, 1조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모든 분야를 포괄하기엔 역부족인 규모다. 여기에 입지 문제도 크다. 우주청..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 미술의 창작 공간이던 대전창작센터가 20년 여정의 마침표를 찍고, 원로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된다. 19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창작센터는 옛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청지원 건물로 故배한구(1917~2000) 선생이 설계한 것으로 등록문화재 10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 근대건축으로 평가받는다. 2005년 대전시립미술관은 한남대 건축학과 한필원 교수와 협력한 프로젝트 전시 <산책-건축과 미술>을 통해 문화시설로서의 재생 기능성을 확인하고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돌입, 2008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관리전환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