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룡역에 '박용래역' 병기되나…문학 특화 역사 추진돼야

  • 문화
  • 공연/전시

오룡역에 '박용래역' 병기되나…문학 특화 역사 추진돼야

대전문하관·대전교통공사 오룡역에 '박용래역' 병기 중장기 계획으로 추진
2025년 박용래 시인 탄생 100주년으로 지역 문학계 기대감 증폭
"강원 춘천의 '김유정역' 따라 제2의 문화 특화 공간 조성해 지역 문학 살려야"

  • 승인 2025-04-17 16:48
  • 수정 2025-04-17 18:23
  • 신문게재 2025-04-18 1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358296_447515_4029
대전 오룡역에 위치한 '작은 문학관'./사진=대전문화재단 제공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오룡역에 고(故) 박용래 시인의 이름을 병기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아직 구체적인 행정 절차가 착수된 단계는 아니지만, 지역 문학계 중심으로 박 시인의 생가 터가 위치한 오룡역을 '문학 특화 역사(驛舍)'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16일 취재에 따르면, 대전교통공사와 대전문학관은 오룡역의 정식 명칭에 '박용래역'을 병기하는 방안을 중장기 계획으로 검토 중이다.

이 아이디어는 지난해 12월 오룡역 역사 내에 '작은문학관'이 조성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박용래 시인의 문학적 업적과 지역 연고성을 기려 문학관 조성과 함께 역사명 병기도 함께 추진하자는 의견이 나온 것이다.



현재 대전교통공사는 관련 로드맵을 마련하고 계획 수립 단계에 착수한 상태지만 행정 협의와 예산 확보 등의 현실적인 문제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특히 대전시와의 실무 협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단기간 내 실행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문학계는 올해가 박용래 시인의 탄생 100주년이라는 점에서 역사명 병기를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2023012701001751700066902
박용래 시인./사진=중도일보DB
박용래 시인은 1925년 강경에서 태어나 대전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향토 문인으로 순수 서정시를 통해 한국 현대시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그의 작품에는 대전의 풍경과 정서가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특히 오류동·용두동·중촌동 등 오룡역 인근 지역이 주요 배경으로 자주 등장한다.

그가 생전 거주했던 오류동의 자택은 박 시인이 직접 '청시사'라 명명했을 만큼 애정을 담은 공간이었지만 2008년 주민 편의시설 조성 명분으로 철거돼 현재는 공영주차장이 들어서 있다. 이로 인해 문학계에서는 아쉬움과 함께 시인의 문학적 유산을 지키려는 노력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져 왔다.

한편, 인명을 역명에 반영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강원도 춘천시의 '김유정역'이 있다. 이 역은 1939년 개업 당시 '신남역'으로 불렸으나 2004년 이 지역 출신 소설가 김유정을 기리기 위해 역명을 변경했다. 인근에 김유정문학촌이 함께 조성되며 현재는 우리나라 최초의 인명 철도역이자 문학 특화 공간으로 관광객들의 발길을 꾸준히 끌고 있다. 또 '강감찬' 표기가 병기된 서울 지하철 2호선 낙성대역의 사례도 눈길을 끈다.

대전 오룡역 역시 이러한 성공 사례를 참고해 문학과 지역 정체성이 어우러진 문화적 명소로 발전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조성남 대전문학관장은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은 박 시인을 기리기 위한 다양한 기념사업을 준비하고 있다"며 "오룡역의 역사명 병기 역시 문학과 도시가 만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교통공사 관계자는 "현재는 오룡역에 문화 특사 역사 조성을 위해 작은 문학관이 조성돼 있고, '박용래역' 병기는 로드맵 구상 정도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며 "대전시와의 협의를 통해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최화진 기자

낙성대
'강감찬' 표기가 병기된 서울 지하철 2호선 낙성대역. 서울시는 일부 지하철 역 이름 옆에 지역 명소를 같이 표기하는 안을 2019년 12월에 확정 고시하고, 2020년 1월부터 '강감찬' 표기를 함께 쓰고 있다. 낙성대역명에 강감찬을 병기하게 되면서, 낙성대가 강감찬 장군의 생가 터라는 사실이 명확해지고 장군의 위상을 드높이는 계기가 됐다는 평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예산 관광의 새 마루지… 예당호 착한농촌체험세상 개장
  2. 공기 중 이산화탄소 직접 포집 기술 2026년 스마트팜서 상용화 기대
  3. [현장] 유학생에겐 외로운 명절 연휴… 전통문화로 정 나누는 대학가
  4. 한화이글스 2025 포스트 시즌 경기 날짜는?
  5. 충청지방우정청, 추석 앞 아동복지시설에 '추석빔' 전달
  1. [추석특집] 긴 한가위 연휴 '고향 사랑' 지역명소 여행은 어때요?
  2. 볼거리·체험거리 풍성… 긴 추석연휴 충남 방문 어때?
  3. 야구의 메카 세종 향해 도약… 제9회 세종시장기 생활체육 야구대회
  4. 천안 각원사, 추석 명절 맞아 홀몸노인 172가정에 정성 담은 도시락 전달
  5. 백석대·백석문화대, 유학생 대상 '추석맞이 한가위 행사' 개최

헤드라인 뉴스


"추석 귀성길 또 정체악몽? 서해안선 경부선 상습정체"

"추석 귀성길 또 정체악몽? 서해안선 경부선 상습정체"

민족 대이동이라 불리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해마다 반복되는 주요 고속도로 '정체 악몽'이 다시 재현될는지 우려가 크다.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김해갑)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명절 고속도로 정체 구간을 분석한 결과, 서해안선과 경부선 일부 구간이 매년 상습 정체구간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서해안선 당진IC~송악IC 구간은 명절 때마다 빠짐없이 정체가 발생하며 평균 정체시간이 31시간에 달해 전국 상위권에 올랐다. 또 서평택Jct~서평택IC 구간은 2022년 추석 38시간, 2023년 추석 47시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연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첫 추락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연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첫 추락사...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개청 이후 처음으로 안타까운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3일 세종경찰청에 따르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관련 업무를 총괄해온 행정안전부 공무원 A 씨가 이날 오전 10시 5분경 어진동 중앙동 청사 아래에서 쓰러진 채 발견됐다. 세종청사 중앙동은 2023년 3월 개청 이후 정부부처의 컨트롤타워 성격인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 업무 거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경찰 조사 결과 A 씨는 최근 화재로 국가적 재난을 가져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등의 정부 전산망 장애 임무를 맡아왔다. 이날 청사 옥상부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추정되고..

천안법원, 등록번호판 절취한 후 사용한 20대 남성 징역형
천안법원, 등록번호판 절취한 후 사용한 20대 남성 징역형

대전지법 천안지원 형사1단독은 등록된 번호판을 절취한 뒤 사용해 부정사용공기호행사 등 혐의로 기소된 A(20)씨에게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A씨는 2024년 10월 주차된 오토바이 등록번호판을 손으로 제거해 떼어낸 후 친구로부터 구매한 무등록 오토바이에 부착, 행사하는 등 자동차 등록번호판을 부정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행사할 목적으로 공무소의 기호를 부정사용했다. 아울러 2025년 1월 서북구 불당동에서 신호등이 빨간불임에도 그대로 진행한 과실로 횡단보도를 건너는 70대 여성을 들이 받아 5주간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족 대이동 시작…안전한 귀성·귀경길을 위한 체크포인트 민족 대이동 시작…안전한 귀성·귀경길을 위한 체크포인트

  • 한복 입고 배우는 큰절 한복 입고 배우는 큰절

  • 다 같이 외치는 ‘청렴 동구’ 다 같이 외치는 ‘청렴 동구’

  • 추석 앞 붐비는 도매시장 추석 앞 붐비는 도매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