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28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대전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계약 총 2만 4406건 가운데 월세 계약은 1만 6716건으로 전체의 68.5%를 차지했다. 대전지역 임대차 계약 10건 중 7건 가까이 월세 또는 보증부 월세 계약인 셈이다. 이 통계에는 아파트·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오피스텔 등이 포함됐다.
주목할 점은 대전의 월세 비중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다는 것이다. 전국에서 월세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80%)였으며, 대전에 이어 울산(68.0%)과 부산(66.5%), 서울(64.6%) 순으로 나타났다.
월세 비중은 전국적으로도 최근 가파르게 확대되는 모습이다. 서울은 대법원이 확정일자 정보를 취합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올해 1분기가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경신했다.
또 2021년까지만 해도 연평균 40%대 수준이던 대전 역시 전세 사기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2022년과 2023년 월세 비중이 50%대로 상승했고, 지난해에는 연중 평균 60%대 선으로 올라섰다. 특히 올 2월에는 72.4%까지 크게 치솟기도 했다.
이처럼 대전의 주택 임대계약 시장에서 월세 증가 속도가 빨라진 것은 지역에서 발생했던 대규모 전세 사기 여파에 대한 우려가 여전한 데다, 경기침체와 고금리로 인해 전세 보증금 마련에 부담을 느낀 수요자들이 월세로 몰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지난해 하반기 시중은행의 가계부채 관리 여파로 전세대출이 원활하지 않았단 점도 월세 비중 증가세에 힘을 보탠 것으로 보인다.
대전 서구의 한 중개사무소 대표는 "전세 사기 피해사례가 주변에서 심심찮게 들리면서 수요자들이 예전만큼 전세를 선호하지 않는 것 같다"라며 "여기에 대전은 전세 보증금 비율도 세종 등 주변 지역 대비 꽤 높은 편이어서, 오피스텔이나 빌라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를 둘러보는 방문객들도 월세를 꽤 많이 찾는다"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