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년 진행된 '제2회 스마트 축산 AI 경진대회'에서 단체 사진 포즈에 응하고 있는 송미령 장관과 참가자들. 사진=농림부 제공. |
공모 분야는 생산관리, 사양관리, 축산 환경개선 등 세 가지 분야로 구분되고, 제출 부문은 상용화 기술과 알고리즘 개발 부문으로 나뉜다.
상용화 기술 부문은 스마트 축산 AI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과 단체가 참여할 수 있으며, 알고리즘 개발 부문은 기업, 단체,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이 참여 가능하다.
ESG(환경·사회·투명) 주제에 가점을 부여해 지속 가능한 축산을 위한 기술과 사례를 발굴할 예정이다. 상용화 기술 부문에서는 해당 기술을 적용한 농가와 함께 발표해 실제 적용 효과를 전달한다.
참가 신청은 7월 18일까지 전자우편 및 우편으로 가능하며, 1차 서면 심사와 2차 전문가 심사를 통해 7개 팀을 선정한다. 최종 순위는 9월 17일 현장 발표와 투표로 결정된다. 수상 기업에는 차년도 '스마트 축산 패키지 보급 사업'의 우선 참여 혜택이 주어진다.
박병홍 원장은 "스마트 축산을 통해 축산농가의 다양한 현장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악취 저감 등 공공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적극 발굴해 스마트 축산 우수사례 확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