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개발사업은 전체 사업장에서 수행한 위험성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 및 작업 특성에 따라 주요 공정과 하위 세부 작업 공정을 분류하여 항목별 주요 유해·위험 요인을 표준화했다.
또한, 개발에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여 잠재적 위험 요소를 추가 발굴, 안전 사각지대 최소화 및 평가 신뢰도를 한층 높인 것이 특징이다.
해당 모델은 향후 공단의 ▲정기위험성 평가 ▲신규 수탁사업장 최초 평가 ▲수시 안전 점검 등 광범위하게 활용될 예정이며, 고용노동부 주관 '2025년 위험성 평가 우수사례 발표대회' 출품을 통해 공공기관 우수사례로 공유한다는 방침이다.
김재보 이사장은 "이번 표준모델 구축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선제적 위험 예방 관리 사례"라며 "시민과 근로자가 안심할 수 있는 시설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인천=주관철 기자 orca2424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