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
15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경찰청이 지난 2월부터 4월 18일까지 대전 지역 노쇼(No-Show) 관련 피해 건수를 집계한 결과 약 2개월간 11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2건은 예약을 하고 나타나지 않는 업무방해죄였고, 나머지 9건은 기관을 사칭해 송금까지 유도하는 사기 혐의로 경찰에서 수사 중이다. 대부분 육군본부, 32사단 등 지역 군부대라고 속여 식당, 앵글제작 업체 등 영세상인을 표적으로 삼은 것으로 파악됐다.
5월 9일 충남 천안 서북구에서는 사기범이 소방공무원을 사칭해 식당 업주에게 한 업체를 소개한 다음 이곳에서 와인을 대리구매를 해달라고 요청해 업주가 460만 원을 피해 본 사례도 있었다.
이 같은 노쇼 사기는 단체 예약, 대량 주문 등 고액 예약으로 접근해 사정상 요청 사항이 있다며 업주에게 대리구매나 대금 송금을 유도한다. 업주가 선결제를 한 만큼 예약 당일 현장에서 한꺼번에 결제하겠다고 속인 뒤 계좌에 돈이 입금되면 연락 두절하는 식이다. 사기임을 걸리지 않기 위해 위조 공문, 명함, 지급결의서를 보여줘 믿게끔 만든다.
최근 대선을 앞두고는 후보자 선거 캠프, 국회의원 비서관을 사칭한 노쇼 사기가 속출하고 있다. 전날인 14일 대전 서구 만년동의 한 명함 업체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캠프 관계자를 사칭한 이가 명함 30만 부를 주문한 후 "선거 운동할 때 필요한 음식값을 일단 넣어달라"며 입금을 유도해 경찰에서 수사에 나선 상태다. 같은 날 민주당 문진석 국회의원실 비서관이라며 접근해 충남지역 업체 6곳을 속인 사기 피해도 알려졌다. 이 사기범 역시 지역의 모 한정식 식당에 의원, 장관 등 20명이 방문 예정이라고 속이고는 회식 당일 650만 원 상당의 와인을 마실 예정이라며 판매업체를 소개한 뒤 이곳에 주문해 미리 준비해달라는 요구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전경찰청 관계자는 "군, 소방, 교도소 등 공공 기관 명의로 단체 예약하는 경우 공식(대표) 전화번호를 확인해 해당 기관에 예약한 사람 혹은 예약한 사실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며 "공공기관은 절대 대리구매나 송금을 유도하지 않는다. 이를 요구하는 경우는 100% 사기이니 속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바름·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