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년 팔천고혼위령제 사진. |
이번 위령제는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왜군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기 위해 옥쇄작전을 감행한 충장공 신립 장군과 김여물 부장을 비롯한 8000여 명 군사들의 영혼을 추모하는 의식이다.
충주시가 후원하고 충주문화원이 주관해 매년 음력 4월 28일에 거행되고 있다.
이날 위령제에는 각 기관단체장을 비롯해 평산 신씨와 순천 김씨 후손, 정진수 충주탄금다례문화원장, 일반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위령제는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헌화 및 분향, 추념사, 추모 헌시 낭송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정진수 충주탄금다례문화원장은 "국난의 시기에 나라를 지키기 위해 싸우신 팔천 고혼들을 위해 충절과 넋을 기리는 소중한 자리"라며 "한 분 한 분의 정성과 참여가 그 정신을 이어가는 밑거름이 될 것이니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유진태 충주문화원장은 "조총 앞에 배수진을 치며 위국과 충절의 마음으로 용맹을 떨쳤던 8000여 명 조선군의 뜻을 받들고,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매년 음력 4월 28일 위령제를 개최해 오고 있다"며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팔천고혼위령탑은 충주시가 2003년 총사업비 3억 7500만 원을 들여 건립한 추모시설로, 높이 15m, 기단부 지름 18m 규모다.
위령탑 상단의 혼불 조형물은 산화한 영령들을 추모하는 모습을, 하단의 신립 장군과 4인의 군상은 최후를 맞으면서도 굴하지 않은 호국충절을 상징하고 있다.
탄금대 전투는 임진왜란 초기 조선군이 왜군에 맞서 치른 주요 전투 중 하나로, 신립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이 절대 열세 상황에서도 끝까지 항전하며 조선의 기상을 보여준 역사적 현장이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