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생 회복 과제 및 연령대별 민생 회복 과제. 한경협 제공. |
20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최우선 민생 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60.9%가 '물가 안정'을 꼽은 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 순이었다.
모든 연령대에서도 물가 안정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20대 이하 57.2%, 30대 56.3%, 40대 63.5%, 50대 64.9%, 60대 이상 60.7%를 기록했다.
물가 안정을 제외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20대 이하(23%)와 50대(19.3%)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30대는 '주거 안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나란히 16.9%를 기록했다. 이는 신규취업·재취업 수요가 큰 20대·50대, 그리고 결혼 후 주택 구입 시기인 30대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민생경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문항에서도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가 53.5%로 1위를 차지했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지만, 고물가 추세가 누적되면서 체감 물가가 여전히 높게 나타났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 추진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이 35.9%로 가장 높았다. 이어 공공요금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 등이었다.
2순위 과제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선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31.9%)가 가장 높았고, 첨단산업·신성장 동력 분야 일자리 창출(21.0%), 노동시장 개혁·근로 환경 개선(20.6%), 중소기업·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고용 확대(20.0%) 등이었다.
'주거 안정' 우선 정책과제로는 '주택공급 확대 및 부동산 시장 안정' 응답 비율이 36.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월세 가격 안정·세입자 보호 강화(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 확대(16.1%), 주택금융·세제지원 확대(13.2%), 도시 재생·주거 환경 개선(6.7%)이 뒤를 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국민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유통구조 개선 등에 노력하고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여력 확충으로 가계의 소득 창출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