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북 고창군 풍천장어 생산자협회가 지난 7일 용선교 일원에서 실뱀장어 치어 방류를 실시하고 있다./고창군 제공 |
이번 방류에는 전북특별자치도(전북도 기술연구소), 고창군 해양수산과, 고창수협을 비롯하여 고창군 어촌계 협의회 등 수산단체들도 함께 참여해 양만 어가들이 직접 사육하고 있는 어린 뱀장어 약 6만 마리를 방류했다.
![]() |
전북 고창군 풍천장어 생산자협회가 지난 7일 용선교 일원에서 실뱀장어 치어 방류를 실시하고 있다./고창군 제공 |
뱀장어는 2014년 국제자연보존연맹(IUCN)의 '적색목록'에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올해 11월 CITES 부속서 등재가 재논의될 예정이다. 실제 등재가 이뤄지면 수급 불안정으로 뱀장어 산업 존립 기반 자체가 위협받게 된다.
현재 국내 뱀장어 양식업은 2024년 기준 약 5140억 원의 소득을 창출하는 내수면 어업 전체 생산금액의 74%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비중이 매년 높아지고 있는 대표 내수면 업종이다.
이처럼 경제적 가치가 높은 뱀장어는 민물에서 서식하다가 산란을 위해 바다로 내려가는 대표적인 강하성 어류다. 뱀장어 양식은 우리나라로 회유하는 실뱀장어를 포획하거나 중국, 대만 등에서 수입한 실뱀장어를 활용하고 있다.
유삼경 풍천장어 생산자협회 대표는 "뱀장어 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해 생산자들이 자발적으로 나서게 됐다"며 "이번 방류를 통해 뱀장어 자원회복에 대한 생산자들의 의지를 보여주고, 향후 체계적인 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창=전경열 기자 jgy3671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