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상버스 운전기사가 휠체어에 좌석 고정벨트를 채우고 있는 장면./부산시 제공 |
이는 지난 3월 20일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뇌병변복지관과 체결한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의 일환이다.
'저상버스 이용의 날'은 매주 화요일 휠체어 이용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탑승 여건 개선과 사회적 배려 분위기 조성을 위해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부산시의 선도 사업이다.
시민추진단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 2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총 65회에 걸쳐 부산 시내 저상버스 탑승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를 진행했다. 하반기에는 100회 이상의 저상버스 탑승 체험을 계획하고 있다.
시민추진단은 △버스정류장 내 운행 시간표상 저상버스 운행 표시 여부 △버스정류장 앞 보도 연석 높이와 보도 폭 △휠체어 탑승 후 저상버스 출발 시간까지 걸리는 시간 △운전기사와 승객 태도 등 저상버스 탑승을 위한 환경 전반을 꼼꼼하게 확인한다.
이러한 현장 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향상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부산뇌병변복지관은 저상버스 도입률 증가에 발맞춰 저상버스 운전기사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장애인식개선교육과 저상버스 리프트·고정벨트 작동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올해 6월 현재 부산의 시내버스 저상버스 도입률은 64.7%로, 시는 앞으로도 저상버스 도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부산시는 하반기에 △교통약자의 접근권 향상을 위한 버스정류소 환경개선 실태조사 △저상버스 탑승 이벤트 △시민들의 긍정적 인식 변화 유도와 대시민 홍보를 위한 공익 영상 제작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 저상버스는 장애인콜택시 두리발과 도시철도의 사각지대를 채워주는 훌륭한 교통수단"이라며,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을 통해 장애인을 포함한 교통약자의 이동권 향상을 도모하고 '따뜻한 공동체, 안녕한 부산' 가치를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