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한국으로 시집온 쩐티화(가명) 씨는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며 큰 장벽을 느꼈다. 숙제도 잘 모르겠고, 학교 알림장도 이해하기 어려웠다. "다른 엄마들은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저는 벽을 느꼈어요." 하지만 그녀는 포기하지 않았다. 낮에는 집안일, 밤에는 한국어 공부를 했다. 지금은 지역의 다문화가정 상담 봉사자로 활동 중이다. "이젠 제가 새로 온 엄마들에게 먼저 말을 걸어요. 무언가 바뀌었다는 느낌이 들어요."
우즈베키스탄 출신인 나탈리아 씨는 아이가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며 마음이 무너졌다. "아이에게 '부끄럽다'는 말을 듣고 너무 아팠어요. 제가 바뀌어야겠다고 생각했죠." 지금은 자신과 같은 엄마들을 위한 작은 '다문화 엄마 모임'을 운영하고 있다. "서로의 고민을 나누다 보면, 혼자가 아니라는 걸 느껴요."
다문화 엄마들이 모이고, 배우고, 목소리를 내는 그 자체가 한국 사회의 작은 물결을 만든다. 어떤 엄마는 다문화 이해 강사로 활동하며 한국 엄마들과 외국인 엄마들을 연결하고, 또 어떤 엄마는 지역 축제에서 자신의 나라 음식을 소개하며 자연스럽게 문화를 알리고 있다.
"처음엔 나 하나 변한다고 뭐가 달라질까 생각했어요. 그런데 지금은 알아요.내가 바뀌면 아이가 바뀌고, 가족이 바뀌고, 결국 동네가 바뀐다는 걸."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나면, 더 이상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아닌 '우리 이웃'이 보인다.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다문화 사회는, 바로 이런 일상의 작은 움직임에서 시작된다.
피벤 카테리나 (우크라이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