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대규모 피해를 겪은 충남 등에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 45억 원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조속한 응급복구를 위해서지만 주택, 영농시설, 농작물 등의 피해가 워낙 광범위하다. 사유시설 피해 중 법과 규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난 부분은 특별지원을 통해서라도 도왔으면 한다.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를 서두르고 지정 기준(122억5000만 원)에 못 미치는 경우라도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배려하기 바란다.
괴물 폭우엔 속수무책이었더라도 복구는 지금부터의 대응 역량에 달려 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24일 취임사에서 대형 재난에 대한 피해 복구 체계 마련을 약속했고 임광현 국세청장은 취임 첫 행보로 예산세무서를 찾아 세정 지원을 주문했다. 지방세 감면뿐 아니라 공유재산 임대 지원에도 힘쓰길 바란다. 배달의민족 운영사는 이날 홍성에서 지역 전통시장 상점가, 소상공인 특산품 판로 지원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본보기가 될 만한 '윈윈' 사례다.
조속한 복구를 위해 고향사랑기부제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지금 같으면 일반기부보다는 호우피해 복구 등 지자체 특정사업을 통한 지정기부 사업 모금이 더 효율적이다. 정치권은 수해 현장의 '쇼 정치'를 걷어치우고 초당적으로 협력할 때다. 하루라도 빨리 일상 복귀를 앞당기려면 피해 상황에 끝까지 잘 대처하는 것이 최선이다. 하천 범람, 산사태, 배수 불량 등 복합적 요인으로 피해를 키운 부분에 대한 보완책도 이 기회에 마련하길 당부한다. 범부처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