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경제적 불평등과 기본소득

  •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경제적 불평등과 기본소득

김성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승인 2025-07-29 10:00
  • 수정 2025-07-29 11:35
  • 신문게재 2025-07-30 19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김성현 프리즘
김성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얼마 전 저녁 식사를 하며 켜둔 TV의 어느 드라마에서, 젊은이들이 클럽에 입장하기 위해 긴 줄을 서 있었다. 그런데, 꽤 근사하게 차려입은 예쁜 여자 고객들이 나타나니 클럽 종사자들은 그들의 손을 이끌고 먼저 입장을 시키고 있었다. 같이 밥을 먹고 있던 막내딸에게 실제 저렇게 하냐고 물으니 "그렇겠죠?" 그런다. 불평등하게 느끼지 않느냐고 물으니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고 했다. 요즘 절은 세대들은 특히 '불평등'에 민감하다고 느끼고 있었던 터라 상당히 의아할 수밖에 없었다.

세상 어디에도 불평등이 없을 수는 없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경제적 차이가 있는 가정에서 태어나며, 외모도 차이가 있으며, 능력 또한 차이가 있다. 요즘같이 경기가 좋지 않으면 경제적 불평등 해소가 관심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소득 불평등은 여러 지표로 확인할 수 있으며, 몇 가지 지표를 보면, 상위 10% 소득 점유율의 경우 미국과 일본이 각각 41%와 48%인데 우리나라는 43%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덴마크, 독인 등 유럽국가는 32%와 36%로 상대적으로 불평등 정도가 낮았다. 또 OECD는 중위소득의 50% 이하를 버는 인구 비율로 '상대적 빈곤율'을 설명하는데, 한국은 16.7%로 OECD 평균인 11.7%보다 빈곤율이 5%p 이상 높아, 상대적 박탈감과 사회적 갈등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쉽게 설명해 상위 10%의 소득을 하위 40%의 소득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는 '팔마비율(높을수록 소득 불평등이 크다)'로 경제적 불평등을 설명하는데, 우리나라는 1.5~1.7 정도로 OECD의 평균 정도 값을 보인다.

경제적 불평등 상황은 우리나라 경제에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까? 참고 견디면 결국 모두 잘살게 되는 시대가 올까? 고전 경제학에서는 적절한 불평등이 경제성장을 유도한다는 설명이 있었다. 고소득층이 더 많은 재화를 소유하게 되고, 이는 투자로 이어져 더 큰 경제적 보상을 얻게 되고, 결국 저소득층도 이득을 보는 낙수효과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부자가 돈을 많이 벌면 봉급을 많이 줄 것이니 가난한 사람도 이익이라는 설명이다. 이익이라고는 하는데 왠지 기분은 별로 좋지 않다. 하지만 최근에 와서는 낙수효과는 여러 나라 경제에서 관찰된 바 없고, 경제적 불평등은 경제성장을 저해한다는 것이 다수의 설이다. 2014년 Ostry 등이 쓴 IMF 보고서에 따르면 "불평등은 경제성장의 지속가능성을 해친다"고 했다. 다른 연구에서도 불평등이 심화되면 제품을 사려는 사람들이 줄어들게 되고, 정치가 불안정해지며, 저소득층에서 교육 등에 접근하는 기회가 줄어들므로 국가의 인적 자본이 약해지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속적 경제성장을 위해서도 경제적 불평등 해소는 필수적이다. 경제적 불평등 해소의 (작은) 한 방법이 기본소득이다. 기본소득의 기본 개념은, 개인소득의 분포를 '0~무한대'인 것을 '일정 금액~무한대'로 조정하는 것이다. 최대치 나누기 최소치를 나타내는 팔러 비율은 당연히 줄어들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최소한의 소득으로 제공되는 '일정 금액'은 시장에서 돈이 돌게 할 것이다. 가난한 이의 '일정 금액'은 100% 시장에 나와 소비로 이어질 것이다. 반면 '무한대'에는 '무한대+일정금액=무한대'로 작용하므로 부자에게 주어지는 일정 금액은 그냥 시장에서 사라지는 금액이다. 이 기본소득을 일상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당장 세수 확대 등을 충분히 일으키기 어렵고, 국민의 전반적인 공감대를 얻기 어려우면 기존 실시하고 있는 각종 생활지원금과 현재 신청 중인 '민생회복지원금' 등을 필요시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지금과 같은 어려운 시기에 보다 더 적극적인 지원금 지급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 정부 여당과 야당에서는 지원금효과에 대해 상반된 해석을 내놓고 있다. 아직 사례가 보고되지 않은 탓이어서 정확한 통계는 더 많은 사례연구를 거쳐야 하겠지만, 2020년 한국은행 연구에 따르면,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후 민간소비 증가율이 전 분기 대비 1.4%p 상승했다는 보고가 있는 만큼, 이번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후 파급효과의 면밀한 분석 또한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분석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막내딸에게 다시 물었다. "다들 줄을 서 있는데 외모로 평가해 먼저 들여보낸다는 게 불공정하지 않아? 너희들은 여자를 외모로 평가하면 성차별이라고도 느끼잖아?" 이때 돌아온 답에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외모도 능력이예요!" /김성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서구 괴정동서 20대 남성, 여성 흉기로 찌르고 도주
  2. 폭염에 서해안 해수욕장 피서객 사고 급증… 물놀이·해루질 '주의'
  3. 건양대병원 노조원 500명 총파업 돌입… 환자들은 '걱정태산'
  4. 전 직장 이차전지 핵심기술 유출한 40대 이직자 구속 기소
  5. 첫 교육전문박물관 '대전한밭교육박물관' 신축 이전 중투심 통과
  1. 조로증 치료 시대 열리나… 생명연 김선욱 박사팀, 원인 억제하는 치료법 개발
  2. 대전·세종·충남 연일 폭염경보… 불볕더위에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2명
  3. 충남 지역 이상기후 지속… "홍수·가뭄 대응 위해 지천댐 꼭 필요"
  4.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1호점애 생활용품과 식료품 후원
  5. "세종형 유보통합 첫걸음" 교육·보육 맞춤지원 사업 추진

헤드라인 뉴스


정부 광역교통사업 예산도 `수도권 쏠림` 심각

정부 광역교통사업 예산도 '수도권 쏠림' 심각

수도권과 지방 양극화가 갈수록 심각해 지는 가운데 도로와 철도 등 정부의 광역교통사업비 80% 이상이 수도권 사업에 집중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재명 정부가 국토균형발전을 국정 기조 중 하나로 삼고 있는 만큼 지역경제 마중물 역할을 하는 충청권 등 비수도권 SOC 사업에 대한 예산 투입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중구)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광역교통 시행계획 사업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진행 중인 사업은 모두 122개, 총사업비는 92조 9318억 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수도권 사업은 74..

자율주행 버스, 집 앞까지… 세종시 이달 말 도입
자율주행 버스, 집 앞까지… 세종시 이달 말 도입

세종시가 자율주행차를 타고 집까지 갈 수 있는 획기적 대중교통시스템을 도입한다. 29일 세종시에 따르면 7월 30일부터 정부세종청사를 순환하는 자율주행차(셔틀)를 종촌동 주거단지와 연계하는 노선으로 시범운행한다. 자율주행차는 어진중학교를 기점으로 종촌동 종합복지센터~어진동 대형마트∼정부청사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등 약 9개 정류장을 거쳐 4.9㎞를 하루 11회 순환한다. 해당 노선은 매월 첫번째 금요일을 제외하고 평일 오후 12시 50분부터 오후 8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시는 국내 최초 광역형 자율주행버스 운행과 더불어 주거단..

머크, 대전 바이오생태계 앵커기업 역할 기대
머크, 대전 바이오생태계 앵커기업 역할 기대

글로벌 기업 머크(Merck) 가 급성장하는 대전 바이오 생태계의 앵커기업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28일(현지시각) 독일 다름슈타트에 위치한 머크(Merck) 본사를 방문해, 쟝-샤를 위르트(Jean-Charles Wirth) 신임 라이프 사이언스 CEO와 만나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방문은 대전에 아시아태평양 바이오프로세싱 생산센터를 건립 중인 머크와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대전을 글로벌 바이오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시장은 먼저 지난 6월 취임한 쟝·샤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 아이들 웃음소리 가득한 명랑운동회 아이들 웃음소리 가득한 명랑운동회

  • 폭염에 쉴 새 없이 돌아가는 에어컨 실외기 폭염에 쉴 새 없이 돌아가는 에어컨 실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