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부동산 시장 거래량 '뚝'… 주택시장 위축 우려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충청권 부동산 시장 거래량 '뚝'… 주택시장 위축 우려

대전·충남·충북 5월부터 7월까지 거래량 감소 꾸준
세종 7월 277건으로 4월 1454건의 19% 수준 급감
주택산업연구원 분양전망지수도 4개시도 모두 감소
"공급대책·지방 부동산 규제 완화 등 대안 마련 필요"

  • 승인 2025-08-12 17:15
  • 신문게재 2025-08-13 5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게티2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충청권 부동산 시장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분양 전망지수도 하락하면서 주택시장 전반에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2일 부동산실거래가 분석 사이트 '아실'에 따르면, 충청권은 대선 앞 부동산 시장 기대감에 따른 거래량 증가 이후 7월까지 꾸준히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은 5월 1499건을 기록한 뒤 6월 1315건, 7월 1107건으로 월마다 감소했으며, 충남은 5월 2353건, 6월 2123건, 7월 1816건으로 감소폭이 더 커졌다. 충북도 5월 2017건, 6월 1713건, 7월 1555건으로 감소세를 이었다. 세종은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따라 4월 1454건으로 치솟은 뒤 5월 564건, 6월 266건, 7월 277건으로 급감했다. 7월 거래량은 4월 거래량의 19% 수준에 그쳤다.

여기에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도 하락세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대전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78.6으로 전월보다 21.4포인트 하락했으며, 세종은 92.9에서 78.6으로, 충남은 100.0에서 85.7로 각각 14.3포인트씩 하락했다. 충북은 80.0에서 50.0으로 30포인트 급락했다.



이처럼 아파트 거래량과 분양전망지수가 소폭 감소한 이유로는 6·27 대출 규제가 수도권뿐 아니라 충청권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수도권의 강력한 대출 규제 여파로 인한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과 향후 추가적인 주택시장 규제 시행 가능성을 염려하는 심리가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에도 반영된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여기에 6·27 대출 규제 등에 따른 주택사업자들의 경계감 확대는 향후 공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공급 확대 효과가 지연될 경우 규제에 따른 사업자들의 부정적인 전망으로 오히려 공급이 감소해 앞으로 집값 상승 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택시장 위축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정부가 주택 공급대책을 마련 중인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를 두고 주택공급을 위한 부지와 재원을 확실히 확보하고,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추진력을 갖춘 공급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대전의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에선 5월 이후 거래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데, 미분양 해소가 더디고 수요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점이 원인으로 꼽힌다"며 "수도권 규제가 지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지방 부동산 규제 완화나 균형발전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2.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3. "대법원 세종으로 이전하자" 국감서 전격 공론화
  4. "캄보디아 간 30대 오빠 연락두절 실종" 대전서도 경찰 수사 착수
  5.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1. '오늘도 비' 장마같은 가을 농작물 작황 피해…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조사
  2.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3. 세종시 '버스정류장' 냉온열 의자 효율성 있나
  4. 가을비 머금은 화단
  5.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내년 지방선거 앞 존재감 경쟁

헤드라인 뉴스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신 퇴직자들이 관련 업계에 취업해 사업을 수주하는 '전관 카르텔'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주한 사업 금액의 규모는 8096억 원에 달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 LH 퇴직자 현황 시스템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0월 이후 LH 사업을 수주한 업체 91곳에 LH 출신 퇴직자 483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업체들이 1년간 수주한 사업은 355건, 수주액은 8096억 원이다. LH는 2009년 출범 이래 지금까지 4700명이 퇴직했다. 연평..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 시기인 올해 1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설 명절 선물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