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12일 부동산실거래가 분석 사이트 '아실'에 따르면, 충청권은 대선 앞 부동산 시장 기대감에 따른 거래량 증가 이후 7월까지 꾸준히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은 5월 1499건을 기록한 뒤 6월 1315건, 7월 1107건으로 월마다 감소했으며, 충남은 5월 2353건, 6월 2123건, 7월 1816건으로 감소폭이 더 커졌다. 충북도 5월 2017건, 6월 1713건, 7월 1555건으로 감소세를 이었다. 세종은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따라 4월 1454건으로 치솟은 뒤 5월 564건, 6월 266건, 7월 277건으로 급감했다. 7월 거래량은 4월 거래량의 19% 수준에 그쳤다.
여기에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도 하락세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대전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78.6으로 전월보다 21.4포인트 하락했으며, 세종은 92.9에서 78.6으로, 충남은 100.0에서 85.7로 각각 14.3포인트씩 하락했다. 충북은 80.0에서 50.0으로 30포인트 급락했다.
이처럼 아파트 거래량과 분양전망지수가 소폭 감소한 이유로는 6·27 대출 규제가 수도권뿐 아니라 충청권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수도권의 강력한 대출 규제 여파로 인한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과 향후 추가적인 주택시장 규제 시행 가능성을 염려하는 심리가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에도 반영된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여기에 6·27 대출 규제 등에 따른 주택사업자들의 경계감 확대는 향후 공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공급 확대 효과가 지연될 경우 규제에 따른 사업자들의 부정적인 전망으로 오히려 공급이 감소해 앞으로 집값 상승 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택시장 위축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정부가 주택 공급대책을 마련 중인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를 두고 주택공급을 위한 부지와 재원을 확실히 확보하고,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추진력을 갖춘 공급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대전의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에선 5월 이후 거래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데, 미분양 해소가 더디고 수요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점이 원인으로 꼽힌다"며 "수도권 규제가 지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지방 부동산 규제 완화나 균형발전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