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철호 목원대 산학협력단장 |
지금 우리가 처한 지역의 현실은 결코 낙관적이지 않다. 날로 심화해 가는 저출생과 고령화, 수도권 집중 현상은 이제 회복이 어려울 만큼 지역을 빠르게 쇠퇴시키고 있다. 지역의 미래를 책임질 청년 인구는 줄어들고 있으며, 기업은 일할 인재를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는 단순히 한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역과 대학이 따로 움직이며 각자도생하는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협력을 통해 지역과 대학이 함께 생존하고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해야 할 때다.
RISE가 던지는 가장 큰 메시지는 바로 '협력'이다. 과거 대부분 대학은 서로 간에 소통이나 협력 없이 독자적으로 교육과 연구, 산학협력 등 본연의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지금은 시대가 바뀌었다. 고립된 발전은 한계에 다다랐으며, 대학이 지역과, 또 지역 내 여러 주체와 함께해야만 생존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더불어 타 대학과의 경쟁보다는 공동의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파트너십이 절실히 요구된다. 경쟁의 패러다임에서 협력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것이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필자가 소속된 대학 또한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최근 RISE 사업을 전담할 인력 구성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아직은 모든 것이 낯설고 어색한 시기다 보니 시행착오도 있고, 제도적으로 미흡한 부분도 여러 곳에서 발견되곤 한다. 하지만 조급해하지 않고, 하나씩 차근차근 기반을 다져가며 내실을 갖춘 구조를 만들어 가고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지속성과 실천이다. RISE가 일회성 사업이 아니라, 지역과 대학이 함께 미래를 설계하고 실행해 나가는 '지속 가능한 혁신 플랫폼'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제 대학은 단순히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공간이 아니라, 지역이 원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이 지역에서 정착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거점 역할을 해야 한다. 인재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지역에서 취업하고 창업하며, 가정을 꾸리고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이런 선순환 체계가 만들어지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때 비로소 지역의 미래도 보장받을 수 있다. 교육과 경제, 삶이 맞물려 돌아가는 구조 속에서 대학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다.
RISE가 당초 기대한 목적을 성취하고 성공하려면 단순한 재정지원이나 프로그램 운영을 넘어 지역 구성원 모두의 인식 변화가 병행되어야 한다. 지역사회는 대학을 단지 청년 학생들이 모여 있는 공간으로만 바라보지 말고, 지역발전을 위해 소통하고 협력하는 파트너로 인정하고 함께해야 한다. 대학 역시 지역사회의 요구와 기대에 귀 기울이며, 지역사회와 함께 숨 쉬는 존재로 자리 잡아야 한다. 분명 대학이라는 조직이 전통적으로 지향해 온 가치나 철학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저출생과 지역소멸이라는 공통의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변화인 것이다.
지금 우리가 맞이한 변화는 그 어느 것 하나 만만한 것이 없다. 하지만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과 대학이 손을 맞잡고 나아간다면, 위기는 기회로 바뀔 수 있다. 이제 막 시작된 RISE가 단순한 재정지원사업이 아니라, 우리 지역의 생존과 미래를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한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 지역에서 좋은 인재가 길러지고, 이들이 오랫동안 지역에 머무르며 살아갈 수 있는 선순환의 씨앗을 지금 바로 함께 심어야 할 때다. /정철호 목원대 산학협력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