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8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동향. 사진=주택산업연구원 제공. |
19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8월 주택사업경기 전망지수는 76.0으로 전월(100)보다 24포인트 하락했다. 전망지수가 기준선인 100을 웃돌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전망이 우세하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충청권의 주택사업에 대한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대전의 주택사업경기 전망은 전월 106.2에서 71.4로 34.8포인트 급락해 비수도권에서 가장 높은 하락폭을 보였다. 세종은 27.7포인트 떨어진 92.3을 기록하며 두 번째로 하락세가 컸다. 충북은 90.0으로 전월보다 26.6포인트 하락했고, 충남은 21.4포인트 하락한 71.4를 기록했다.
이는 6·27 부동산 대책 여파로 시장 전반이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대출규제 직격탄을 맞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수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지방도 이 같은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수도권에 비해 대출규제나 정책의 직접적인 영향은 덜하지만, 지역별 수급 불균형과 경기 침체가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세종은 상반기 행정수도 완성 기대감과 대선 이슈로 거래가 늘고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는데, 이후 정책 불확실성 등의 여파로 거래량 급감과 집값도 보합 또는 하락세로 전환했다는 평가다.
경남(-28.6포인트), 강원(-23.3포인트), 경북(-20.4포인트) 등 다른 시도에서도 주택사업경기는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건설사들은 수도권 주택사업도 기피하는 분위기다. 서울의 경우 64.1로 전월(135.1)보다 71포인트 하락했으며, 경기와 인천도 각각 53.0포인트, 47.1포인트씩 하락하면서 69.2, 66.6을 기록했다.
수도권의 경우 자금조달 문턱이 높아졌고, 추가 규제 가능성이 증가하면서 시장이 관망세에 접어든 분위기다. 이는 시장 불확실성으로 수요자들이 주택 구입을 미루고, 소유주는 가격 조정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거래량이 급감했다는 분석이다.
주산연 관계자는 "과거에도 대출규제를 포함한 강력한 수요 억제 정책을 시행했는데, 단기 조정을 거쳐 반등한 사례가 있었다"며 "이번 규제 효과가 장기적으로 이어질지는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