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20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공고된 민간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정비사업지에는 1592세대 모집에 7만 4078명이 청약해 평균 경쟁률 46.53대 1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지방 정비사업 경쟁률은 7.27대 1로 수도권에 비해 크게 낮았다.
지난해 수도권 정비사업 경쟁률은 47.57대 1, 지방 33.67대 1로 모두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나 올해 지방은 인구 감소와 부동산 경기침체 등 영향으로 작년의 4분의 1 수준으로 하락했다.
수도권 내 정비사업지를 보면, 서울 서초구 방배6구역에 공급된 래미안 원페를라가 151.60대 1, 영등포1-13구역 리버센트 푸르지오 위브가 191.30대 1을 기록하는 등 세 자릿수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반면, 지방은 경쟁력을 잃고 있다. 앞서 7월부터 1·2순위 청약을 진행한 서울 이외 지역의 민간 아파트 분양단지는 총 45곳(조합원 취소분은 제외)으로, 이 중 37곳이 미달됐다. 모든 주택형에서 미달이 나온 단지만 17곳이다.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올해 전국 기준 1·2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은 7.28대 1로 서울이 96.83대 1을 기록한 반면, 광주(0.53대 1)와 대전(0.31대1), 전남(0.21대1), 제주(0.48대1)는 소수점 경쟁률에 불과하다.
이를 두고 서울의 청약 시장이 '로또 청약'으로 불리며 시세차익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반면, 비수도권은 실거주 중심 수요로 회귀하는 흐름이 뚜렷해졌기 때문이라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여기에 6·27 대출 규제로 인한 투자 수요가 지방 청약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 있다는 관측이 있었으나, 실제 수도권의 거래량 감소와 집값 오름세가 주춤하면서 투자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섰다는 분석도 있다.
대전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서울과 지방 간 청약 양극화가 극심해지고 있고, 대전의 경우에도 좋은 입지 단지만 흥행이 가능한 상황"이라며 "지방 청약시장이 다시 살아나기 위해선 세제 혜택을 대폭 강화하는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 |
수도권과 지방의 정비사업 평균 경쟁률. 사진=리얼하우스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