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 전경. |
국내 석유화학업계가 글로벌 경기 둔화로 구조적 불황에 빠진 상황에서 정부가 본격적 구조조정 유도에 나서면서 그간 자율적 사업 재편 추진에 성과를 내지 못했던 업계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일 정부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구윤철 경제부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산업 경쟁력 강화 관계 장관 회의에서 과잉 설비 감축 및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으로의 전환, 재무 건전성 확보, 지역경제·고용 영향 최소화 등 '구조 개편 3대 방향'을 제시했다.
또 3개 석유화학단지 대상 동시 구조 개편 추진과 충분한 자구 노력 및 타당성 있는 사업 재편 계획 마련, 정부의 종합 지원 패키지 마련이라는 '정부 지원 3대 원칙'도 내놓았다. 3개 석유화학단지엔 충남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와 전남 여수, 울산 등이 포함된다.
정부는 지원에 앞서 기업이 과잉 생산 감축을 핵심으로 한 계획을 내놓아야 한다는 '선 자구 노력, 후 정부 지원' 방침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NCC를 보유한 10개 석유화학 기업 관계자들은 이날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위한 자율 협약식'을 열고 총 270만~370만톤 규모의 NCC를 감축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이는 현재 국내 전체 NCC 생산능력 1470만톤의 18~25%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런 목표는 한국화학산업협회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을 통해 진행한 컨설팅 용역을 바탕으로 도출됐다. 협약 참여 기업들은 연말까지 정부의 구조 개편 3대 방향에 따라 각각의 사업 재편 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협약 내용은 그간 산업부와 각 기업 간 협의를 통해 마련된 것이지만, 사실상 정부가 연말까지 각 기업에 감산을 핵심으로 한 사업 재편 안을 들고 오라는 통첩을 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정부는 기업들이 제출하는 사업 재편 계획에 관한 타당성과 자구 노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이에 필요한 금융, 세제, R&D, 규제 완화 등의 지원 패키지를 마련해 뒷받침하기로 했다.
정부는 기업이 마련한 자구 노력에 따라 지원을 차등화하고, 사업 재편을 미뤄 다른 기업의 감산에 따른 이익을 기대하는 '무임승차'에는 정부 지원을 배제해 불이익을 주겠다는 방침이다.
또 석화 산업 위기에 따른 지역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5월 여수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이번에 서산시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