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 지속… 9월 부동산 대책까지 '관망'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충청권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 지속… 9월 부동산 대책까지 '관망'

대전 32주 연속 하락 기록… 누적 하락 1.72% 달해
세종 상반기 상승 이후 하반기 들어 4주 만에 보합
수도권 대출 규제 여파 분위기 충청권까지 영향 분석
"9월 정부 부동산 대책 발표 후 향후 분위기 지켜봐야"

  • 승인 2025-08-21 16:20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아파트 게티이미지배앵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충청권 집값이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대전은 올해 초부터 반등 없이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세종은 상반기 급등 이후 4주 만에 보환 전환했다. 이러한 흐름은 9월 예정된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 전까지 어이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셋째 주(18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11주 만에 보합(0.00%)으로 돌아섰다. 이는 6월 2일 이후 (0.00%) 마지막으로 보합을 기록한 뒤 서울 등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 상승 영향으로 오름세를 이어가다 보합세로 전환했다.

수도권에선 서울이 0.09%로 상승했으나 전주 보다 오름폭은 0.01%포인트 축소됐다. 경기는 보합(0.00%), 인천은 0.01% 하락했다.

충청권도 상황은 비슷했다. 대전은 0.04% 내리며 올해 단 한 차례 상승 또는 보합 없이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32주 동안 하락한 대전 집값 누적 하락률은 1.72%에 달한다. 대전은 동구(-0.08%) 판암·대성동 대단지 위주로, 유성구(-0.06%) 지족·상대동 중소형 규모 중심으로, 서구(-0.03%) 월평·도마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세종은 보합으로 전환됐다. 상반기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실 이전에 대한 기대감에 꾸준히 올랐으나, 대선 이후에는 상승폭이 크게 감소했다. 7월 셋째 주에는 보합세를 보였고, 이후 잠시 상승세를 보이다 4주 만에 다시 보합으로 돌아섰다. 세종은 지역·단지별로 혼조세를 나타내면서 상승에서 보합 전환했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충남은 0.02%로 내려 전주(-0.02%)와 같은 하락세를 유지했다. 충북은 0.01% 상승했지만, 전주(0.03%)보다 상승폭은 0.02%포인트 줄었다.

전국 아파트 가격은 당분간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서울을 중심으로 단기 급등한 집값이 대출 규제로 관망세를 이어가면서, 충청권도 비슷한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정부가 다음 달 부동산 정책을 발표할 예정인 만큼, 시장의 관망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대전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다음 달 발표한 부동산 대책이 현재 대출 규제와 맞물려 전체 시장의 분위기를 결정할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라며 "대출 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추가적인 정책에 대해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어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8월 셋째 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8월 셋째 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사진=한국부동산원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2.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3. "대법원 세종으로 이전하자" 국감서 전격 공론화
  4. "캄보디아 간 30대 오빠 연락두절 실종" 대전서도 경찰 수사 착수
  5.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1. '오늘도 비' 장마같은 가을 농작물 작황 피해…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조사
  2.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3. 세종시 '버스정류장' 냉온열 의자 효율성 있나
  4. 가을비 머금은 화단
  5.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내년 지방선거 앞 존재감 경쟁

헤드라인 뉴스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신 퇴직자들이 관련 업계에 취업해 사업을 수주하는 '전관 카르텔'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주한 사업 금액의 규모는 8096억 원에 달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 LH 퇴직자 현황 시스템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0월 이후 LH 사업을 수주한 업체 91곳에 LH 출신 퇴직자 483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업체들이 1년간 수주한 사업은 355건, 수주액은 8096억 원이다. LH는 2009년 출범 이래 지금까지 4700명이 퇴직했다. 연평..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 시기인 올해 1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설 명절 선물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