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준병 의원이 지난 22일 쌀가공산업 발전과 식량안보 토론회를 진행하고 있다./윤준병 사무실 제공 |
이날 열린 국회 토론회는 윤준병 의원을 비롯해 서삼석·송옥주·이원택·임호선·주철현·문금주·문대림·이병진·임미애 의원이 공동주최하고, 고려대학교 한국식량안보연구소, (사)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사)한국쌀가공식품협회가 주관했다. 특히 쌀 생산자단체 농업인 및 쌀 가공식품 생산업계 등 약 500여명이 토론회에 참석해 성황을 이루었다.
윤준병 의원은 토론회 인사말에서 "지금 전 세계적으로 식량을 둘러싼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해지고 있는 식량안보 위기의 시대를 마주하고 있다"고 운을 떼며 "이상기후와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전쟁 등과 같은 대내외적 여건들은 주요 곡물의 생산과 유통을 위협하고 있으며, 자급률이 낮은 나라일수록 그 충격은 더욱 직접적이고 치명적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윤 의원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라며 "현재 식량자급률은 40% 수준에 불과하며, 그중에서도 가장 기초적인 주식인 쌀만이 사실상 유일하게 자급이 가능한 품목이지만, 이 역시 매년 반복되는 쌀값 불안정과 쌀 소비량 감소로 쌀 산업 위축과 식량안보의 기반마저 흔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준병 국회의원은 "이제 식량위기에 대응해 식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공급할 수 있는 농업을 국가안보산업이자 전략산업으로 인식하고 이를 위한 법적·제도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오늘 토론회를 토대로 대한민국의 굳건한 식량안보 구축과 쌀 가공산업에 대한 국가 차원의 로드맵 마련을 위한 고견들이 제시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김춘진 대한민국헌정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조상현 (사)한국쌀가공식품협회 본부장이 '쌀가공식품산업의 지속 가능한 민관 협력 전략'을, 박현진 고려대학교 한국식량안보연구소 소장이 '식량안보법 제정의 필요성'을 주제로 각각 의제 발표에 나섰다.
조상현 본부장은 "쌀가공식품산업은 과잉 생산된 쌀을 흡수해 농가소득을 지키고, 국가 식량안보를 뒷받침하는 핵심 산업이라"며 "공급 변동성이 곧 리스크인 만큼 단기 처방을 지양하고, 가공용쌀 원료화 정책과 지속 가능한 민관 협력을 통해 안정적 원료 공급체계를 구축해 식량안보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현진 소장은 "국제 곡물 수급 불안과 저조한 국내 곡물 자급률은 우리 사회의 심각한 식량위기 요인"이라며 "식량안보법 제정을 통해 통일 대비 비축, 취약계층 지원, 쌀가공산업 기반 강화, 민간기업과의 협력 등 국가 차원의 종합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는 변상문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 박현진 고려대학교 한국식량안보연구소 소장, 임병희 (사)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사무총장, 조상현 (사)한국쌀가공식품협회 본부장, 김종욱 ㈜시아스 부사장이 토론자로 나서 열띤 토론을 펼쳤다.
정읍고창=전경열 기자 jgy3671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