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화산업 살리기 나선 정부… 싸늘한 업계 반응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석화산업 살리기 나선 정부… 싸늘한 업계 반응

정부 구조개편안, NCC 연간 370만톤 감축 골자
공장가동률 이미 최저치 결국 문닫는 기업 발생
대산산단 NCC기업 90%… 협력업체 직격탄 우려
충남도·서산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요구

  • 승인 2025-08-24 12:44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clip20250824101359
충남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 전경. /중도일보 DB
정부가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 구조개편을 통해 침체된 석유화학산업 살리기에 나섰지만, 업계의 반응은 싸늘하다. 정부의 '선(先) 자구노력, 후(後) 지원' 방침이 글로벌 공급과잉 위기 속에서 소극적인 처방이라는 지적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석유화학업계는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국이 값싼 러시아산 원유를 대량 수입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했고, 중동지역 산유국도 NCC(나프타 분해설비) 증설에 나서면서 글로벌 공급 과잉이 가속화됐다. 이로 인해 지난 2021년 최대 성과를 거둔 국내 석화업계의 실적은 곤두박질쳤다.

석화업계는 정부의 과감한 지원책을 기대했지만, 이번 대책이 사실상 생산량 감축과 구조조정을 전제로 하고 있어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 과잉 속에서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나서야 정부에서 지원하겠다는 것은 앞뒤가 바뀐 처방"이라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우 기업들이 (악재를) 예상할 수 있는 범위가 아니지 않냐"며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대책이 마련됐어야 했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GYH2025082000090004400_P4
정부는 국내 NCC생산량을 연간 1470만 톤에서 약 25% 줄인 1100만 톤 수준으로 감축하라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문제는 국내 NCC 기업들의 공장가동률이 이미 최저수준이라는 것이다. 손익분기점이 85% 수준으로 알려졌지만 현재 일부 기업은 60% 안팎으로 떨어진 실정이다. 이 이하로 낮출 경우, 설비 관리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더 큰 손실을 떠안아야 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결국 어느 기업이 먼저 문을 닫을지가 관건이고, 결국 살아남는 기업이 시장을 독식하게 될 것이라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공장가동률을 더 낮추기엔 이미 한계점에 와있고 결국 문을 닫는 기업이 생기게 될 것"이라며 "기업들 간에 합종연횡도 불가피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다만 "이번 정부의 가이드라인 발표로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된 점은 긍정적"이라면서도 "기업별로 자구 방안 마련에 착수했으며, 인력 재배치 및 구조조정 등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말했다.

특히 충남 서산에 위치한 대산석유화학단지의 위기감이 크다. LG화학, 롯데케미칼, 한화토탈, HD현대케미칼 등 대기업을 포함해 91개 기업이 입주해 있는데, 이 가운데 90% 이상이 NCC 관련 업종이다. 그나마 대기업들은 버틸 체력이 있지만, 이들과 직·간접으로 연결된 포장·운송·납품 등 80여 개 협력업체가 생존 위기에 직면할 수 있어 지역경제 전반에 파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른 지자체 차원의 대응도 시작됐다. 충남도와 서산시는 지난 7월 정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서를 냈다. 대산산단의 공장 가동률이 74.3%로 국내 3대 석화단지 중 가장 낮고, 국세 납부액 역시 2022년 1조7700억 원에서 2024년 1600억 원으로 90% 이상 급감한 점을 근거로 들었다. 앞서 지난 5월 위기 대응 지역으로 지정된 여수산단의 경우 세제 유예 및 고용유지지원금 확대, 업종 전환 투자보조금 등 혜택을 받고 있는 만큼, 대산산단도 동일한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여수산단의 경우 신청 후 1개월 반 정도 걸려 지정된 만큼, 대산산단도 9월쯤이면 지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대산산단에는 90%의 NCC관련 기업이 있고, 이 중 95%가량이 중소·중견기업으로 대기업이 무너지면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2.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3. "캄보디아 간 30대 오빠 연락두절 실종" 대전서도 경찰 수사 착수
  4. "대법원 세종으로 이전하자" 국감서 전격 공론화
  5.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1. '오늘도 비' 장마같은 가을 농작물 작황 피해…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조사
  2.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3. 세종시 '버스정류장' 냉온열 의자 효율성 있나
  4. 가을비 머금은 화단
  5.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내년 지방선거 앞 존재감 경쟁

헤드라인 뉴스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신 퇴직자들이 관련 업계에 취업해 사업을 수주하는 '전관 카르텔'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주한 사업 금액의 규모는 8096억 원에 달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 LH 퇴직자 현황 시스템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0월 이후 LH 사업을 수주한 업체 91곳에 LH 출신 퇴직자 483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업체들이 1년간 수주한 사업은 355건, 수주액은 8096억 원이다. LH는 2009년 출범 이래 지금까지 4700명이 퇴직했다. 연평..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 시기인 올해 1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설 명절 선물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