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회복 소비쿠폰 시행 한달, 대전 소상공인 매출 '활력'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민생 회복 소비쿠폰 시행 한달, 대전 소상공인 매출 '활력'

여름철 폭염과 폭우에도 소상공인 매출 소비쿠폰에 증가
카페, 식당, 편의점 등 사용 가능 소비처 매출에 긍정적
9~11월 시행 앞둔 상생페이백에 4분기도 기대감 솔솔

  • 승인 2025-08-24 12:43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민생11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쿠폰을 시행한 지 한 달, 대전 골목식당과 카페, 편의점 등은 활력을 되찾은 모양새다. 소상공인들은 소비쿠폰 시행 이전보다 매출이 늘었다고 한목소리를 내며 매출 증가 효과를 누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24일 유통업계와 소상공인 등에 따르면 7월 21일부터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풀리기 시작한 뒤 식당과 편의점, 전통시장 등 소상공인 영업장의 매출과 소비자가 늘었다. 정부는 소비쿠폰을 백화점·대형마트·유흥업소를 제외하고 연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업체에서만 쓸 수 있도록 했다. 통상 여름철 폭염과 폭우로 소비자들이 더위를 피하기 위해 백화점과 대형마트로 몰리며 식당 등의 매출은 줄어들게 된다. 특히 올해는 폭염으로 고온 현상이 지속됐다. 그러나 올해는 소비쿠폰 영향으로 주저앉은 매출이 소폭 상승했다고 지역 소상공인들은 전했다. 대전 서구에서 고깃집을 운영 중인 김 모(49) 씨는 "여름엔 휴가 시즌과 더위 등이 겹치면서 불 앞에서 고기를 먹는 손님들이 다른 계절보다 훅 떨어지기 마련인데, 소비쿠폰 덕에 7월 말부터 현재까지 작년과 비교해보면 매출이 10~20%가량 늘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같은 매출 증가는 설문조사에서도 나타난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최근 전국상인연합회와 골목상권과 전통시장 소상공인 20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8%가 소비쿠폰 지급 이후 사업장에서 매출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영세 자영업자들은 1인 카페 등도 매출이 증가하는 모습이다. 중구에서 커피 전문점을 운영하는 박 모(41) 씨도 "직장인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선 아침 출근과 점심때 가장 저렴한 아이스아메리카노가 가장 많이 팔렸는데, 소비쿠폰 덕분인지 이보다 비싼 메뉴들도 7·8월 유독 많이 나갔다"고 미소지었다.

소비쿠폰이 사용 가능한 편의점도 매출 증가를 톡톡히 봤다. 대형 편의점 4사에 따르면 7월 22일부터 8월 20일까지 매출은 1년 전보다 8%가량 증가했다. 주택가 상권의 경우 방문객 수와 1인당 구매 금액이 각각 10% 정도 늘었다. 소비쿠폰 지급 후 한 달간 편의점에서는 맥주 등 주류부터 정육상품 등 신선식품, 간편식, 생필품, 건강식품 등 다양한 품목의 매출이 늘었다. 소비기한이 긴 주류 매출이 최소 10% 이상씩 늘었다. GS25에서는 축산품(100.9%)과 수산품(114.4%) 매출이 작년의 두 배로, CU에서는 건강식품 매출이 86.3% 각각 늘었다. 세븐일레븐에서는 즉석식품(60%)·냉동정육(40%)·고급 아이스크림(20%), 이마트24에서는 두부·콩나물(47%)·냉장국·탕·찌개(46%) 등 매출 증가가 눈에 띄었다.

업계는 정부가 9~11월 시행하는 상생페이백으로 4분기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성구에서 편의점을 운영 중인 주 모(57) 씨는 "편의점은 계절 특수성을 띠지 않기 때문에 1년 전과는 비교가 어렵겠지만 6월과 비교해보면 7월은 소폭 늘어다가 8월 들어 크게 늘어났다"며 "소비쿠폰 덕에 매출이 늘은 것 같아 상생페이백도 매출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2.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3. "캄보디아 간 30대 오빠 연락두절 실종" 대전서도 경찰 수사 착수
  4. "대법원 세종으로 이전하자" 국감서 전격 공론화
  5.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1. '오늘도 비' 장마같은 가을 농작물 작황 피해…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조사
  2.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3. 세종시 '버스정류장' 냉온열 의자 효율성 있나
  4. 가을비 머금은 화단
  5.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내년 지방선거 앞 존재감 경쟁

헤드라인 뉴스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신 퇴직자들이 관련 업계에 취업해 사업을 수주하는 '전관 카르텔'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주한 사업 금액의 규모는 8096억 원에 달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 LH 퇴직자 현황 시스템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0월 이후 LH 사업을 수주한 업체 91곳에 LH 출신 퇴직자 483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업체들이 1년간 수주한 사업은 355건, 수주액은 8096억 원이다. LH는 2009년 출범 이래 지금까지 4700명이 퇴직했다. 연평..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 시기인 올해 1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설 명절 선물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