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밥상 단골메뉴 고등어, 1년 만에 두 배 상승... 대전 주부들 부담 커진다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서민 밥상 단골메뉴 고등어, 1년 만에 두 배 상승... 대전 주부들 부담 커진다

대전 평균 소매가 고등어 염장 한마리 9100원
1년 전 4731원과 비교 시 무려 92.35%나 급등
어획량 상승에도 중대형 고등어 안잡힌 원인

  • 승인 2025-08-25 16:27
  • 신문게재 2025-08-26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2025032401001852100074711
서민 밥상 단골메뉴인 고등어 가격이 1년 만에 두 배가량 치솟았다. 최근 어획량이 늘었음에도 중·대형 고등어가 잡히지 않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소비자 가격이 크게 뛰었다.

25일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대전에서 판매하는 고등어(국산·염장) 1손(한 마리) 평균 소매가는 이날 기준 9100원으로, 1년 전(4731원)보다 92.35% 올랐다. 이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3700원보다 145.95%나 오른 수치다. 고등어는 통계청의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서도 1년 전보다 12.6%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고등어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는 중·대형어(마리당 300g 이상)의 생산량 감소가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올해 고등어 누적 생산량은 7월까지 7만 7523톤으로 1년 전보다 56.8% 많았다. 그러나 부산공동어시장에 위판된 고등어 중에서 중·대형어의 비중은 1.0%로 작년(12.8%)보다 대폭 낮았다. 이는 최근 5개년 중에서 최저 수준이다. 부산공동어시장에서 위판된 중·대형어 고등어 비중은 2019년 53.2%, 2020년 49.5%, 2021년 25.3%, 2022년 51.3% 등으로 두 자릿수를 유지해오다 2023년 9.0%까지 낮아졌다.

고등어뿐만 아니라 갈치(냉장·1마리) 대전 평균 소매가는 25일 기준 1만 5450원으로, 1년 전(7920원)보다 95.08% 인상됐다. 평년가와 비교해도 같은 상승률이다. 명태(냉동가공·1마리) 대전 평균 소매가도 이날 기준 1만 5500원으로, 1년 전(1만 4100원)보다 9.93% 올랐고, 평년가(1만 2045원)보다는 28.6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물오징어(신선냉장·1마리) 대전 소매가는 25일 기준 377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5103원)보다 26.12% 내려갔고, 평년가(4453원)보다는 15.45% 인하했다.



가정 밥상에 주로 올라가는 대표적인 생선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덩달아 커졌다. 가뜩이나 채소와 과일 등 여러 식료가 오른 상황에서 가계 금전적 어려움에 소비를 전보다 줄이며 허리띠를 졸라맨다. 주부 조 모(41) 씨는 "가뜩이나 물가가 올라 여러 식재료가 많은 상황에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생선마저 가격이 뛰어 버리니 장을 볼 때마다 가격 부담이 많을 수밖에 없다"며 "행사를 할 때 저렴한 걸로 고르는데도 가계에 경제적 어려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2.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3. "캄보디아 간 30대 오빠 연락두절 실종" 대전서도 경찰 수사 착수
  4. "대법원 세종으로 이전하자" 국감서 전격 공론화
  5.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1. '오늘도 비' 장마같은 가을 농작물 작황 피해…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조사
  2.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3. 세종시 '버스정류장' 냉온열 의자 효율성 있나
  4. 가을비 머금은 화단
  5.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내년 지방선거 앞 존재감 경쟁

헤드라인 뉴스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신 퇴직자들이 관련 업계에 취업해 사업을 수주하는 '전관 카르텔'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주한 사업 금액의 규모는 8096억 원에 달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 LH 퇴직자 현황 시스템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0월 이후 LH 사업을 수주한 업체 91곳에 LH 출신 퇴직자 483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업체들이 1년간 수주한 사업은 355건, 수주액은 8096억 원이다. LH는 2009년 출범 이래 지금까지 4700명이 퇴직했다. 연평..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 시기인 올해 1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설 명절 선물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