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넷제로 아메리카 프로젝트의 2050년 미국 에너지 인프라 전망. KAIST 제공 |
KAIST는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전해원 교수 연구팀과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앤드링거 환경·에너지연구센터가 탄소중립 공동연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넷제로 코리아'(Net-Zero Korea) 프로젝트를 공식 출범했다고 27일 밝혔다.
구글의 시드펀딩으로 시작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단기적으로 한국의 에너지와 산업 부분의 탄소중립 전환을 가속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한 한국의 에너지시스템 모델링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에너지 시스템 모델링은 청정에너지로의 전환과 탄소중립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프린스턴대가 2021년 발표한 '넷제로 아메리카' 프로젝트의 선도적 모델링 방법론을 KAIST의 통합평가 모형 연구와 접목해 한국 실정에 맞게 적용할 계획이다.
![]() |
전해원 KAIST 교수 |
KAIST는 한국에 특성화된 글로벌 통합평가모형(IAM)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최적화 기반 오픈소스 에너지·산업시스템 모델에 국제무역 영향을 통합하는 새로운 시도를 주도할 예정이다.
프린스턴대 측 연구책임자인 웨이 펑(Wei Peng) 교수는 "KAIST의 세계적 수준 통합평가 모델링 전문가들과 협력을 통해 매크로에너지 모형과 통합평가 모형의 장점을 접목한 새로운 연구를 통해 한국처럼 무역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가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해원 KAIST 교수는 "넷제로 연구를 선도해 온 프린스턴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한국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달성에 과학적인 근거 기반을 제공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