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박정현 의원실 |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대전 대덕구)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2022년~2024년) 발생한 개인형 이동장치(PM) 교통사고 건수는 7007건이며, 이 중 무면허 운전 교통사고 건수는 3442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2년 1127건, 2023년 2389건, 2024년 2232건이 발생했으며, 이 기간 사상자는 7865명에 달했다.
![]() |
박정현 의원 |
특히 무면허 운전으로 인한 PM 교통사고 건수는 2022년 1127건, 2023년 1148건, 2024년 1167건으로 매년 증가했고, 전체 PM 교통사고의 절반 가량이(49%) 무면허 운전에 의한 사고로 드러났다. 사고를 낸 무면허 운전자의 연령대는 15세 이하가 1388명으로 가장 많고, 16세∼19세는 1318명, 20대 380명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 PM 교통사고 건수와 사상자가 많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도가 가장 많고 서울과 대구가 뒤를 이었다. 경기도에선 2594건의 교통사고와 2916명의 사상자가, 서울에선 1354건의 교통사고와 1507명의 사상자, 대구는 426건의 교통사고와 48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 |
제공=박정현 의원실 |
사상자가 많은 지역은 민원건수도 많았다.
지자체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서울과 경기(2023년부터 통계 산출)에서는 각각 41만8596건, 3만197건의 민원을 접수했으며, 이는 전국 지자체 민원건수(53만 9098건)의 83%에 육박했다.
![]() |
제공=박정현 의원실 |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