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고은시인의 시집 『거리의 노래』에서는 보문산 까치고개에서 시작한 고은 시인과 박용래 시인의 여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장수바위를 거쳐 황량한 대전천 길을 따라 내려오면서, "박용래는 호주머니 안에/ 담배꽁초 두어 개밖에 없었다/ 고무 신창이 닳아/ 발바닥과 땅이 닿아 친밀했다/ 눈물 흘러 흘러/ 석교동 석교 국민학교 언저리에서/ 샘골 지나 문창다리 지났다/ 물도 썩고/ 썩은 물에 돌멩이 하나 던졌다/ 울던 사람 -중략- 영교(선화교)에서/ 보문고등학교 교장 이재복을 만나/오디빛 오디빛/하는 칭찬받으며 술을 얻어먹었다"-고은의 시 「대전천따라」에서
눈물을 흘리며 대전천 길을 따라 걸었던 시인은 이제 대전천 상류 머들령 길목을 지키는 산신이 되어 대전천을 굽어보고 있다.
박용래 시인은 대전 문학의 상징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광복 이후 지역의 시적 낭만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문인으로 대전 문단에서는 시인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1925년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전 생애를 문학에 바친 진정한 시인이다. 그는 '강아지풀'이나 '저녁 눈'처럼 작고 하찮게 보이는 것들의 아름다움을 섬세하고 한국적인 서정으로 잘 그려내었다.
남은 아지랑이가 홀홀 타오르는 어느 역 구 내 모퉁이 어메는 노오란 아베도 노란 화물에 실려 온 나도사 오요요 강아지 풀. -강아지 풀.
늦은 저녁 때 오는 눈발은 말집 호롱불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말은 조랑말 발굽 밑에 붐비다….- 저녁 눈.
이는 그가 살았던 주변의 소박한 풍경들과도 잘 어우러진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일상 속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시인이다. 그가 떠난 후 1984년에는 보문산 사정공원에 시인의 시비(詩碑)가 세워지기도 했다. 시인은 실제로 대전에서 오랜 생활을 하였다. 그래서 그가 살았던 대전 중구 오류동의 집 청시사 터에 시인의 시(詩)인 '오류동의 동전'이 새겨진 표지석이 2009년에 세워지기도 했다. 이 시는 시인으로서 가난했던 그의 삶을 담고 있는 시이다.
2025년 올해는 박용래 시인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대전문학관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특별전(2025년 8월 13일 ~ 12월 31일)을 비롯해 문학 콘서트, 오룡역 문화 전시 등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지역에서도 그의 문학적 가치와 대전에서의 의미를 기리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각 지역을 대표하는 시인들이 있다. 부여에는 금강의 시인 신동엽 시인이 있고, 섬진강의 시인 김용택, 남한강의 충주에는 목계장터의 신경림 시인, 가까운 옥천에는 향수의 시인 정지용 시인이 있고, 공주에는 풀꽃 시인 나태주 시인이 있다. 우리 지역의 박용래 시인은 대전의 문학적 정체성을 대표하는 인물이며, 그의 삶과 작품이 대전이라는 지역과 깊이 얽혀 있어서 대전 사람들에게는 단순히 시인을 넘어선 문화적 상징이자 자부심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