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2문화예술복합단지 기획디자인 마스터플랜 우수작. |
민선 8기의 핵심 공약으로 시작된 대형 문화 프로젝트였지만, 행정 절차 지연과 지역 사회 일각의 반발이 겹치면서 존립 자체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취재에 따르면, 제2복합예술단지 내 음악전용공연장은 올해 3분기 타당성 조사를 착수할 예정이었으나 아직 발도 붙이지 못했다.
직전 단계인 KDI 타당성 조사 결과에 보완 작업이 들어가면서 기존 계획보다 최소 반년 이상 늦춰졌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당초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음악전용공연장과 제2시립미술관을 포함한 복합예술단지를 추진했으나 행정 준비가 늦어지면서 계획을 2032년으로 한 차례 미룬 바 있다.
그럼에도 올해 타당성 조사 착수조차 무산되면서 2032년 개관 목표도 더 늦춰질 가능성이 커졌다.
제2복합예술단지는 총사업비 3300억 원이 투입되는 대형 문화 인프라 조성 사업이다. 전액 시비로 충당되는 만큼 대전시 재정에 부담이 크다.
더구나 지난해 말 완공된 중촌근린공원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공연장을 짓기로 하면서 논란이 된 데다가 초기 계획보다 예산이 800억 원 늘어난 것도 비판을 키웠다.
이에 시민단체와 여당은 거세게 반발했다.
대전참여자치연대는 지난 3월 성명을 통해 "무리한 클래식 공연장 건립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도 "멀쩡한 시설을 부수고 3300억원을 들여 공연장을 짓겠다는 발상은 시민 세금을 제멋대로 낭비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문제는 내년 제9회 지방선거다. 제2복합예술단지는 민선 8기의 상징적 공약으로, 내년 대전시장 선거결과에 따라 변곡점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로서는 KDI 타당성 조사 보완 작업이 마무리돼야 중앙투자심사와 건설공사타당성조사, 기본계획수립 등 각종 심의, 설계·승인 과정을 거쳐야 착공이 가능하지만 당초 올해 3분기에 추진하려던 중앙투자심사에조차 진입하지 못한 상황이다.
정권 교체가 현실화될 경우, 설계 단계에도 오르지 못한 채 사업이 좌초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 경우 지금까지 투입된 행정 절차 비용 24억 9000만 원과 인력 역시 고스란히 낭비될 수밖에 없다.
대전시는 일정 지연에도 불구하고 사업 추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대전시청 관계자는 "제2문화예술복합단지 내 설립될 음악전용공연장과 제2시립미술관은 내년 초 각각 중투심과 설립협의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며 "기존 계획인 2032년 준공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